지자체 앞다퉈 해외 기업 유치전
충남, 20억 투자·20명 고용해도 보조금부산, 신발·섬유 기업 투자비 대출 알선
대구·전남, 용지 무상 임대… 유턴 호소
|
충남도는 해외 진출 기업이 국내로 유턴하면 최대 552억원까지 보조금을 지원하겠다고 15일 발표했다. 조건이 있다. 552억원을 받으려면 충남에 1500억원을 투자하고 500명을 신규 고용해야 한다. 산업통상자원부 지침에 따라 2년 이상 해외 사업장을 운영한 기업으로 이를 청산하거나 해외 공장의 25% 이상 생산량을 줄이고, 국내 유턴 후 같은 업종을 운영하는 조건도 필요하다.
도는 최소 20억원 투자 또는 20명 이상 신규 고용 유턴 기업에도 보조금을 준다. 관계자는 “충남은 신규 고용 기준을 충족하면 건물과 기계장비 등 설비금의 7%까지 지원한다. 전국 최고 수준이다”며 “본사 유턴 시 지원금(설비금의 10%) 주는 곳은 충남이 유일하다”고 했다.
부산시는 국·공유 재산을 최장 50년까지 장기 임대하고 국가산업단지 휴·폐업 공장을 리모델링한 임대공장 우선입주 조건을 내걸었다. 산업은행 등을 통해 초기 시설투자비의 80%까지 대출도 알선한다. 중국과 동남아로 나간 신발·섬유 기업이 유치 대상이다. 대구시는 전담팀까지 만들었다. 해외 설비 국내 이전비로 5억원까지 지원하고 대구국가산단 우선 입주를 제시했다. 중소기업 유턴시 임대용지 10년 무상공급도 내놓았다. 전남도는 유턴 인센티브를 500억원까지 늘리고, 부지 무상 임대 등에도 팔을 걷어붙였다. 강원도는 춘천·원주 등 산업단지를 ‘강원형 유턴기업 전용 산업단지’로 조성한다.
재계 관계자는“지방정부가 유치 경쟁력을 가지려면 지원 조건을 대폭 완화해 문턱을 낮추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