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수해 닥친 충주 찾아가보니
“수해가 난 지 한 달 됐지만, 아직도 집 안팎이 진흙과 자갈로 가득해요.”30일 찾은 충북 충주시 엄정면 논동마을. 지난 2일 집중호우로 마을 전체가 쑥대밭이 된 지 한 달이 됐지만, 마을 곳곳에는 수마의 상처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
폭우 뒤에 바로 이어진 폭염과 코로나19 재확산 등으로 수해 복구에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논동마을회관은 폭격 맞은 듯 뒤쪽 벽면이 심하게 파손된 채 마을 입구를 지키고 있었다. 부엌과 마루는 흙투성이였다.
마을회관 뒤편에 있는 담배밭과 콩밭은 한 달째 진흙 범벅이다. 김태완(64) 이장은 “충주시가 들어준 보험회사에서 돈을 줘야 마을회관을 복구하는데 연락이 없다”면서 “개인 밭은 쥐꼬리만 한 재난지원금으로 각자가 복구해야 한다”고 걱정했다.
아직 귀가하지 못한 이재민도 있다. 주택이 침수된 전영순(65)씨는 안양에 있는 가족 집에서 잠을 자고 매일 이곳으로 출퇴근해 집을 정리하고 있다. ´
인근 산척면 광동마을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마을 하천 곳곳은 자갈과 모래가 아직 가득하고, 산사태 현장도 한 달째 그대로다. 김봉회(81) 할머니는 “물에 잠겼던 논도 손을 못 대고 있는데 산사태 현장 등의 정리는 남의 일”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은 “한 달 동안 자원봉사자는 구경도 못했고, 이제는 온다고 해도 코로나19 때문에 반갑지도 않다”고 했다.
중부지역을 강타한 이번 집중호우로 발생한 충북지역 피해액은 2500억원이다. 현재 물을 빼고 토사를 제거하는 응급복구만 끝낸 상태다.
충북도 관계자는 “복구비로 5000억원 정도가 필요하고, 완전복구까지는 1년 정도가 걸릴 것 같다”면서 “특히 코로나19로 자원봉사자가 줄면서 일손이 크게 부족하다”며 관심을 호소했다.
글 사진 충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2020-08-3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