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 ‘인터넷방역단’ 200일
대학생·직장인 자원봉사단 100여명정보공개로 인한 2차피해 방지 성과
행안부와 연계 일자리 창출 효과 기대 서울 송파구가 전국 최초로 시행한 인터넷방역단이 지난 6일 활동 200일을 맞았다. 이 기간 코로나19 확진자의 불필요한 정보 2172건을 찾아내 1433건을 삭제 및 비공개 처리하는 성과를 거뒀다. 구는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향후 가짜뉴스 대응으로까지 범위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10일 송파구에 따르면 구 인터넷방역단은 코로나19 확진자의 사생활 침해 및 확진자 방문업소 매출 저하 등 정보공개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난 5월 21일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작됐다.
지난 9월 9일에는 인터넷방역 자원봉사단을 구성해 방역단 활동을 확대했다. 현재 대학생 및 직장인 등 100여명으로 구성된 자원봉사단이 확진자 동선과 함께 코로나19 관련 거짓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등 24시간 사이버 방역 활동을 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지침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자의 감염경로, 이동경로 등 동선 정보는 확진자가 마지막 접촉자와 접촉한 날로부터 14일이 지나면 삭제하게 돼 있다. 그러나 한번 정보가 게시되면 빠르게 확산되는 온라인 환경의 특성상 최초 게시자가 정보를 삭제해도 이미 퍼져 나간 정보는 손을 쓸 수 없어 2차 피해 우려가 커지면서 인터넷방역단을 꾸리게 됐다. 방역단은 확진자 정보를 인터넷에서 검색해 피해가 우려되는 게시물을 탐지, 삭제 조치하는 활동을 펼친다.
구는 방역단이 행정안전부 희망일자리사업과 연계된 만큼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한다. 실제로 행안부는 올해 하반기 희망일자리사업 예산 가운데 3억 1500만원을 편성해 동선 삭제 모니터링 요원 고용 등에 지원하고 있다. 지난 5월 28일 진영 행안부 장관이 ‘제2회 중앙·지방 정책협의회’에서 송파구인터넷방역단 활동을 코로나19 대응 모범사례로 소개하며 전국으로 확대할 것을 독려하기도 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