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지 주민 설득 대책으로 제시
종전 지원비 4500억원의 4~6배
대구공항 이전 3조~4조 거론 감안
전남 지자체 간 유치 경쟁 유도책
광주시는 ‘광주 도심 군 공항 이전’을 국가 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이 확정됨에 따라 이전 대상지 주민을 설득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 대책을 먼저 마련하기로 한 것으로 1일 알려졌다. 이전 대상지로 거론되는 전남지역 주민들이 ‘신뢰할 수 있고 수용 가능한 국가 차원의 획기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시가 광주 군 공항 이전 대상지 주민들에게 새롭게 제시하려고 하는 2조~3조원의 지원 사업비는 종전까지 일관되게 제안해 왔던 4500억원의 4~6배 규모다. 시 관계자는 “예상 지원 사업비 규모가 대폭 증가한 것은 또 다른 공항 이전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대구공항의 경우 이전 대상지 주민 지원 사업비로 3조~4조원이 거론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라고 말했다.
시의 이 같은 방침은 모든 지역이 기피하는 군 공항 이전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려면 신뢰할 수 있는 정부가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시함으로써 일선 지방자치단체들의 경쟁을 유도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광주시장 후보로 확정된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지난달 28일 열린 미디어데이에서 “군 공항 이전 문제는 ‘대구형 모델’로 갔으면 좋겠다. 획기적인 인센티브를 제시해서 각 지자체가 서로 경쟁해 유치하는 방식으로 군 공항을 이전해 개발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인수위에도 광주 군 공항 이전에 대해 대구형 모델을 적용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 홍행기 기자
2022-05-0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