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신공항, 일정 빠르지만
가덕도신공항 예타 면제로 변수
市, 정부 건의… 홍준표 후보 가세
예상 개항시기가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이 가덕도신공항보다 모두 빠르지만 변수가 생겼다. 최근 가덕도신공항이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이 됐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은 K-2 군공항과 민간공항인 대구국제공항을 모두 이전해 건설해야 한다.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되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은 사업시행자를 찾는 것이 중요하지만 선뜻 나서는 기업이 없다. 공항 개항 시기가 늦어질 변수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의 차질 없는 사업추진을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시는 지난 8일 대구에서 열린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의 대국민 보고회에서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을 첫 번째 정책과제로 채택해 줄 것을 건의했다고 10일 밝혔다. 세부내용을 보면 2028년까지 경북 군위군 소보와 의성군 비안 일원에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을 건설하고 군공항은 기부 대 양여 방식에 대해 국가 재정을 투입하고 국가공공기관이 참여하는 방안을 명시했다.
홍준표 국민의힘 대구시장 후보도 최근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을 가덕도신공항보다 빨리 개항하겠다”면서 “대구시정을 인수하면 첫 번째 과제를 신공항 건설로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과 가덕도신공항은 여러 가지 겹치는 점이 많다. 따라서 먼저 개항하는 공항이 여객 수요와 노선 확보를 선점할 가능성이 커 조기 개항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대구 한찬규 기자
2022-05-1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