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 건물 균열·이격에 토사 유실
6개 업체 6만 6000㎡ 지반 침하
LH와 공방, 책임 비율 산정 못 해
산단 내 인프라 부족도 해결 과제
24일 지역 정치권과 익산시에 따르면 식품클러스터 내 지반침하를 겪는 업체는 6곳으로 면적이 6만 6000㎡(약 2만평)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이 문제가 올라왔지만 여전히 뚜렷한 해법 없이 단순 보수만 하고 있다. 지반침하 피해를 호소하는 입주 업체들은 배수 처리도 없이 산업단지를 만든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책임이라고 주장하고, LH는 입주업체 공사가 원인이라고 맞서는 형국이다.
지반침하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용역 결과가 발표된 이후에도 논란은 끊이지 않는다. 대한토목학회 연구 보고서에는 산업단지 조성 전부터 있던 소하천의 배수 처리 없는 매립과 한 입주 기업의 지반 굴착 공사 등이 침하 원인으로 지목됐다. 다만 책임 범위를 위한 정확한 비율을 산정하지 못했다.
산업단지 내 인프라 부족과 산업 생태계 불균형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이원택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산업단지 분양률은 71.8%지만 연구시설 부지는 0%에 그쳤다.
국가식품클러스터가 국가단위 산업단지로 운영되려면 식품문화 확산, 마케팅, 식품 비즈니스 공간 제공 등 입주 기업들의 전방위적 지원시설이 필요하다.
소병훈 민주당 의원은 “충분한 인력을 미확보할 시 2024년까지 추가로 구축되는 청년식품창업센터와 기능성 원료은행 운영 등의 사업 추진에 차질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전주 설정욱 기자
2022-10-2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