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신설법인 수 372개 그쳐
제조업은 53.7% 줄어 더 타격
부산상공회의소는 지역 신설법인 동향을 조사한 결과 10월 신설법인 수가 372개로 조사됐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6.0%, 지난달보다 2.4% 줄어든 것이다. 올해 신설법인이 가장 많았던 지난 4월의 622개와 비교하면 40.2% 감소했다. 부산지역 월별 신설법인 수는 지난 4월 이후 6개월째 하락하고 있다. 1월부터 10월까지 모두 5019개로 지난해 5666개보다도 647개 적다. 부산상의는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등 3고 현상의 장기화로 경기침체에 대한 경계심이 확산하면서 법인 신설이 저조한 것으로 분석했다.
10월 신설법인을 업종별로 보면 유통업이 99개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7.5% 줄어 다른 업종보다 비교적 감소폭이 작았다. 서비스업, 건설업, 운수업 등 주요 업종 대부분 신설법인 수가 지난해보다 20% 이상 줄었다. 특히 제조업과 부동산 및 장비임대업의 신설법인 수가 각 53.7%, 56.3%나 줄었다. 부동산업은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이상 인상하는 ‘빅스텝’으로 매수가 얼어붙은 데다 레고랜드 사태로 단기자금시장 경색까지 겹치며 법인 신설이 급감했고, 제조업은 제조원가 상승, 금융비용 증가 등 3고 현상에 따른 영향을 가장 크게 받으면서 창업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 관계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과 산유국 모임인 OPEC+의 감산 기조 유지 등 경기침체 우려가 확대되면서 창업 환경이 혹한기를 맞았다”며 “정책자금의 대출한도 확대와 상환유예, 고금리 대환 등 직접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부산 정철욱 기자
2022-12-0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