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평구의회가 올여름 주민들을 괴롭혔던 깔따구, 러브버그 등 생활불쾌곤충 문제에 대한 근본적이고 지속가능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단순 살충제 중심의 방제 한계를 인정하고 생태적 관점의 통합 전략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은평구의회는 지난 11월 6일 정책세미나실에서 박성도, 권인경, 이미경 의원 3인이 공동 주최한 ‘은평구 여름, 날벌레 없는 생활환경! 지속가능한 방제 전략 모색’ 토론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발제자로 나선 양영철 을지대 교수는 불광천 깔따구 대발생의 원인을 수질 오염과 천적 부재로 명확히 규정했다. 양 교수는 과학적 대안으로 유충 밀도 예측조사와 B.t.i(바실러스 튜링겐시스) 기반의 친환경 방제 기법 도입을 제안했다. 특히 최근 문제된 러브버그에 대해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외래종 유입이 주원인이며 성충 수명이 짧아 살충제 중심의 대응은 실효성이 낮다”고 지적하며 기존 방제 방식의 한계를 강조했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는 해충 문제를 단순한 방역이 아닌 ‘생태계 관리’ 관점에서 다루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 민성환 생태보전시민모임 사무국장은 깔따구가 수질 오염의 지표종임을 지적하며, 수질 개선과 주민들이 참여하는 생태모니터링 체계 구축이 근본적인 해법이라고 제시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의원들은 “생태, 보건, 행정이 균형 잡힌 지속가능한 방제 전략이 필요하다”**며, “토론회 결과가 실제 정책으로 이어지도록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은평구의회는 향후 기후위기 예측을 기반으로 ▲통합 방제관리체계 구축 ▲수질 개선 기반 생태복원 전략 ▲주민 참여형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등 다각적인 후속조치를 검토할 계획이다.
한준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