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 ‘도로점용허가’ 원클릭으로 해결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강남, 수능 당일 유해환경 점검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광진구, 수능 이후 청소년 유해환경 집중 점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중랑, 어린이 3000명 전통시장 체험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2025년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2025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 10월 정보통신산업 수출 233.3억 달러, 무역수지 103.7억 달러 흑자 기록


- 전년 동월 대비 9개월 연속 수출 증가, 역대 10월 중 최대 실적 기록




 


산업통상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 1114, 10월 한 달간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수출은 233.3억 달러로 전년 동월(208.0억 달러) 대비 12.2%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129.6억 달러로 전년 동월(133.5억 달러) 대비 2.9% 감소했다. 그 결과 무역수지는 103.7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과 조업일수의 감소('24.1022'25.1020, 2.0)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월 대비 9개월 연속 성장세*를 보이며, 역대 10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하였다.


* ICT 수출 추이(억 달러, %) : (2)165.4(0.2) (3)205.2(9.1) (4)189.1(10.7) (5)208.7(9.6) (6)220.0(4.6) (7)221.8(14.4) (8)228.6(11.1) (9)254.2(13.9) (10)233.3(12.2)


** ICT 역대 10월 수출(억 달러, %) : 1233.3('25), 2208.0('24), 3201.9('18)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주요 품목별 수출은 반도체(25.4%), 통신장비(2.5%) 증가하였고, 디스플레이(8.8%), 휴대폰(11.8%), 컴퓨터·주변기기(1.0%)는 감소하였다.


 


품목별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반도체는 D램과 낸드 가격 상승, AI 서버 등 고부가 메모리 수요 증가로 수출이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하였고, 통신장비는 베트남과 인도의 무선통신기기용, 기지국용 장비 수요 증가로 수출이 소폭 증가하였다. 반면, 디스플레이는 IT 기기의 OLED 패널 적용 확대에도 불구하고 제품단가 하락으로 인해 수출이 감소하였다. 휴대폰은 주력 제품의 수요 증가로 완제품 수출은 증가했으나, 해외 주요 기업의 생산 거점인 중국으로의 부분품 수출 둔화로 전체 수출은 감소하였다. 또한, 컴퓨터·주변기기는 전년도 수출 급증에 따른 수요 둔화로 수출이 감소했으나, SSD 수요 회복으로 소폭 감소하였다.


 


지역별 수출 동향을 보면, 일본(4.6%)은 감소한 반면, 중국(<홍콩포함>, 4.9%), 베트남(3.8%), 유럽연합(29.2%) 등에서는 증가세를 이어 갔다. 또한, 미국(5.8%)은 휴대폰과 반도체 수출 증가로 전체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입(129.6억 달러)은 휴대폰(34.9%), 디스플레이(16.7%) 등의 감소로 전년 동월(133.5억 달러) 대비 2.9% 감소하였다. 반면, AI 인프라 등 수요 확대에 따라 컴퓨터·주변기기에 포함된 GPU(0.8억 달러, 725.9%) 및 중대형 컴퓨터(4.5억 달러, 70.6%) 수입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253분기 누적 수입(억 달러, %) : 그래픽카드(4.6, 26.4), 중대형컴퓨터(27.4, 49.0)


* GPU 수입 추이(억 달러, %) : (7)0.6(750.5) (8)0.2(249.1) (9)0.6(600.4)(10)0.8(725.9)


중대형컴퓨터 수입 추이(억 달러, %) : (7)3.0(39.9) (8)3.4(144.3) (9)3.5(67.6)(10)4.5(70.6)


 




정보통신산업(ICT) 10월 수출 현황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반도체 : 157.4억 달러, 25.4%) 메모리 고정가격D, 낸드 상승세*AI 서버 중심의 고부가 메모리DDR5, HBM의 수요 견조로 수출이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 D8Gb 단가 추이($) : (7)3.9 (8)5.7 (9)6.3 (10) 7.0


낸드128Gb 단가 추이($) : (7)3.4 (8)3.4 (9)3.8 (10)4.4


반도체 수출 추이(억 달러, %) : (7)147.1(31.2) (8)151.1(27.0) (9)166.2(21.9) (10))157.4(25.4)


(디스플레이 : 16.4억 달러, 8.8%) IT 기기의 OLED 패널 적용 확대에도 제품 단가 하락* 등으로 수출이 감소


* OLED단가 추이($, %) : (25.1Q)49.7(5.5) (25.2Q)48.1(6.6) (25.3Q)52.3(7.4) (25.4Q)53.4(7.5)


ITLCD 단가 추이(($, %) : (25.1Q)45.2(1.6) (25.2Q)45.51.1) (25.3Q)44.3(3.1) (25.4Q)43.3(7.3) 디스플레이 수출 추이(억 달러, %) : (7)17.6(8.9) (8)18.2(9.4) (9)19.2(1.3) (10)16.4(8.8)


(휴대폰 : 16.1억 달러, 11.8%) 주력 제품의 판매 호조로 완제품(4.0억 달러, 4.8%) 수출은 증가했으나, 해외 주요 기업의 생산 거점인 중국으로의 부분품(<홍콩 포함>, 10.2억 달러, 13.2%) 수출 둔화로 전체 수출은 감소


휴대폰 수출 추이(억 달러, %) : (7)9.6(21.7) (8)13.3(15.4) (9)14.9(10.7) (10)16.1(11.8)


(컴퓨터·주변기기 : 11.1억 달러, 1.0%) 중국, 네덜란드 등 AI·데이터센터 수요에 따라 보조기억장치(SSD) 수출이 회복되면서 전년 동월 대비 소폭 감소


* SSD 수출 추이(억 달러, %) : (7)7.5(22.4) (8)10.3(17.2) (9)10.7(13.8) (10)8.2(16.0)


컴퓨터·주변기기 수출 추이(억 달러, %) : (7)10.9(17.1) (8)13.4(16.6) (9)14.6(10.9) (10)11.1(1.0)


(통신장비 : 1.8억 달러, 2.5%) 베트남(0.3억 달러, 18.4%)의 무선통신기기용 부분품과 인도(0.1억 달러, 56.5%)의 기지국용 장비 수요 등의 호조로 수출이 증가


통신장비 수출 추이(억 달러, %) : (7)2.0(4.4) (8)1.9(1.6) (9)2.2(38.1) (10)1.8(2.5)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중소·중견기업 52.8억 달러, 1.3%) 반도체(29.2억 달러, 2.3%), 디스플레이(2.3 달러, 10.3%) 등은 증가, 휴대폰(2.4억 달러, 26.3%), 통신장비(1.1억 달러, 1.5%), 컴퓨터·주변기기(1.6억 달러, 25.0%) 등은 감소


* 중소기업(15.1억 달러, 1.1%) 반도체(2.7억 달러, 8.4%), 디스플레이(1.1억 달러, 57.3%), 휴대폰(0.9억 달러, 41.6%) 등은 증가, 통신장비(0.6억 달러, 7.4%), 컴퓨터·주변기기(1.2억 달러, 29.0%) 등은 감소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중국<홍콩 포함> : 87.0억 달러, 4.9%) 반도체(62.4억 달러, 10.8%), 컴퓨터·주변기기(2.1억 달러, 49.0%) 수출 증가로 전체 수출이 증가


중국(홍콩 포함) 수출 추이(억 달러, %) : (7)74.7(5.7) (8)83.3(0.2) (9)92.4(1.1) (10)87.0(4.9)


(대만 : 42.8억 달러, 60.0%) 반도체(40.8억 달러, 61.5%), 컴퓨터·주변기기(0.6억 달러, 197.1%)가 전체 수출을 견인하며 수출이 증가


* DDR5, HBM 등 고부가 메모리(32.0억 달러, 60.0%)가 반도체 수출을 견인


대만 수출 추이(억 달러, %) : (7)37.0(89.6) (8)36.0(65.6) (9)42.9(53.5) (10)42.8(60.0)


(베트남 : 35.6억 달러, 3.8%) 반도체(20.4억 달러, 10.3%)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하며 증가세 지속


베트남 수출 추이(억 달러, %) : (7)36.3(16.4) (8)38.6(18.0) (9)40.6(20.7) (10)35.6(3.8)


(미국 : 25.0억 달러, 5.8%) 반도체(12.3억 달러, 52.1%), 휴대폰(1.0억 달러, 33.5%) 수출 증가로 전체 수출이 증가로 전환


미국 수출 추이(억 달러, %) : (7)27.1(11.9) (8)23.3(10.0) (9)29.2(3.9) (10)25.0(5.8)


(유럽연합 : 12.4억 달러, 29.2%) 반도체(4.6억 달러, 131.4%), 디스플레이(0.3억 달러, 9.7%), 컴퓨터·주변기기(2.1억 달러, 30.8%) 수출 증가로 증가세 지속


유럽연합 수출 추이(억 달러, %) : (7)11.9(18.0) (8)13.0(8.2) (9)13.0(22.3)(10)12.4(29.2)


(인도 : 4.3억 달러, 9.2%) 반도체(2.5억 달러, 15.3%), 디스플레이(0.4억 달러, 25.6%) 수출 호조로 증가세 지속


인도 수출 추이(억 달러, %) : (7)4.8(14.1) (8)4.6(0.3) (9)5.0(34.8)(10)4.3(9.2)


(일본 : 3.0억 달러, 4.6%) 반도체(1.2억 달러, 20.7%) 수출은 증가했으나, 디스플레이(0.1억 달러, 2.8%), 휴대폰(0.1억 달러, 31.8%), 컴퓨터·주변기기(0.3억 달러, 30.9%) 수출 감소로 전체 수출은 감소


일본 수출 추이(억 달러, %) : (7)3.3(23.9) (8)3.3(3.9) (9)3.9(10.8)(10)3.0(4.6)


 




정보통신산업(ICT) 10월 수입 현황




 


(품목별) 컴퓨터·주변기기(14.7억 달러, 27.4%)는 증가, 반도체(65.9억 달러, 1.7%), 디스플레이(3.6억 달러, 16.7%), 휴대폰(8.2억 달러, 34.9%), 통신장비(3.2억 달러, 15.3%)는 감소


 


(지역별) 베트남(12.7억 달러, 7.1%), 대만(23.4억 달러, 0.7%)은 증가, 중국(홍콩포함, 38.6억 달러, 26.9%), 미국(6.8억 달러, 16.8%), 일본(11.2억 달러, 17.0%)은 감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강서 ‘희망온돌 따뜻한 겨울나기’ 훈훈

15일부터 25억 모금 목표로 진행

송파 기업 9곳, 다자녀 가정과 ‘희망의 결연’

1년간 매월 10만원씩 양육비 지원 2012년부터 181곳 302개 가정 후원

“서초, 지속가능한 미래 도시로 만들 것”

잠원·반포권역 도시발전 정책포럼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