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는 25일 “지방분권 시대에 맞춰 지방공무원들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올해부터 6급 이하 공무원을 대상으로 장기교육과정을 신설,운영하기로 하고 교육 내용과 교육대상 선발은 지방에 자율적으로 맡기기로 했다.”고 밝혔다.
행자부는 이공계 출신의 교육기회를 늘리고 외국어·정보화 교육을 강화하는 등 최소한의 가이드 라인만 제시했다.구체적인 것은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짜도록 했다.이에 따라 전국 16개 시·도는 30∼45명씩 592명을 선발,이달부터 교육에 들어갔다.
제주도는 국제자유도시를 만든다는 방침에 따라 유일하게 30명 정원의 1년 장기 ‘영어전문교육과정’을 운영하기로 했다.영어회화,독해,토익,영어공문서 작성법 등 영어 실력 향상에 역점을 뒀다.또 국제자유도시,외자유치,인터뷰 기법,국제회의 진행기법,국제 매너 등 국제 관광도시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한다.3주간은 국내 통역대학원에,1개월은 싱가포르 전문기관에 위탁교육을 한다.
충남도는 대상자를 선발할 때 토익시험을 치러 성적순으로 선발했다.추천을 받은 66명 가운데 토익으로 40명을 뽑았다.일부 응시자는 토익시험에 대한 부담으로 포기하기도 했다.
경기도는 대상자에게 전화를 걸어 의견을 수렴했다.일반과정 외에 소양교육이 필요하다는 요청에 따라 ‘경기학개론’,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고구려 역사의 재조명’ 등을 추가했다.인천시는 기술직에 50%를 반영했다.
조덕현기자 hyoun@˝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