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뭐 한 게 있나요.며느리 맘 고생이 심했죠.”(며느리 장기만 할머니·71)
“저보다 잘 하는 사람도 많은데….”(손자 며느리 김은옥씨·46)
며느리 3대(代)가 대를 이어 시부모를 친정부모처럼 깍듯이 모시고 있어 훈훈한 얘깃거리가 되고 있다.화제의 중심에는 50여년 동안 시부모를 극진히 봉양하고 있는 장기만(구로구 구로2동) 할머니가 있다.
●70대에도 100세 시어머니 모셔
50여년을 한결같은 마음으로 함께 해온 황갑… 50여년을 한결같은 마음으로 함께 해온 황갑희 할머니(오른쪽) 와 며느리 장기만 할머니가 서울 구로구 구로2동 자택에서 담소를 나누고 있다. 구로구 제공 |
이어 장 할머니는 4년 뒤 남편을 따라 고향인 충남 연기군을 떠나 서울 서대문구 아현동으로 이사했지만,얼마 지나지 않아 시부모도 함께 상경한 것.장 할머니는 “방 두칸짜리 집에서 방 하나는 시부모님께 내드리고,남편과 4자매 등 6명이 한 방에서 생활했다.”면서 “지금은 그때의 고생보다 서울에 올라온지 3년만에 돌아가신 시아버님께 더욱 잘해드리지 못한 게 한이 된다.”고 안타까워했다.
시나브로 살림이 불어나는 재미를 느끼던 장 할머니에게 위기가 닥친 것은 1979년.남편이 다니던 회사가 매각되면서 실직했기 때문.장 할머니는 “더이상 집안일만 할 수 없어 종로 ‘주단거리’에 있는 한복집에서 바느질을 시작했다.”면서 “지난해까지 25년 동안 바느질을 하면서 시어머니를 모셨고,4자매도 결혼시켜 지금은 여한이 없다.”고 말했다.
●손부는 시아버지 7년 병수발
이처럼 장 할머니가 생계를 책임지는 사이 손자 며느리 김씨의 대를 이은 ‘시부모 모시기’가 시작됐다.1988년 결혼한 김씨는 신혼의 달콤함이 가시기도 전인 1990년부터 중풍으로 몸져 누운 시아버지의 병간호를 돌아가실 때까지 7년간 도맡았다.김씨는 “50여년간 시부모님을 모신 어머님에 비하면 내세울만한 일도 아니다.”면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했을 뿐”이라며 겸손해 했다.
장 할머니는 남편을 여의고 자식들마저 모두 출가시켰지만,돌아서면 남이 될 수도 있는 시어머니를 여전히 모시고 있다.또 근처에 살고 있는 김씨는 밤낮으로 시할머니와 시어머니를 찾아뵙는 정성을 게을리하지 않고 있다.
이같은 며느리의 대를 이은 ‘시부모 사랑’이 알려지면서 장 할머니는 지난달 양대웅 구로구청장으로부터 장한어버이 표창을 받기도 했다.장 할머니는 “부모 봉양에 시부모,친정부모 편가르기가 무슨 소용이 있냐.”면서 “지금처럼 서로 의지하며 여생을 보낼 수 있으면 그걸로 족하다.”고 말을 맺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