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기섭 강릉시장이 27일 국제관광민속제를 성공적으로 마친 뒤 앞으로의 계획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강릉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
단오제를 전후해 지난 11일부터 17일동안 지구촌 최대의 민속문화 잔치 한마당을 성공적으로 마친 심기섭(沈起燮) 강릉시장의 감회는 남다르다.
2년 연거푸 태풍 피해를 겪으며 어렵게 행사를 마련했고,놀거리·먹거리 행사가 아닌 민속을 주제로 축제를 열면서 성공을 장담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심 시장은 “당초 100만명의 관람객을 예상했는데 180만이 찾아줘 대성공”이라면서 “해외여행을 하면서도 보기 힘든 세계민속공연을 한 자리에서 보여줘 알찬 행사였다.”고 자부했다.
특히 인도 쿠티야탐,중국 곤극,필리핀 후드후드송 등 유네스코가 인정한 걸작을 비롯해 해외 21개국 30개팀이 열연을 해 주었고,국내 대표급 공연팀 36개팀이 합류해 모두 66개 공연이 다채롭게 이어지면서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은 것을 성공의 비결로 꼽았다.
여기에 강릉 단오를 알리는 창포물에 머리감기,부채만들기,떡만들기,그네타기,제기차기 등 각종 체험행사를 열면서 전통민속문화를 이해시키고 참여 축제로 만든 것도 주효했다고 자평한다.
심 시장은 “가족이나 단체가 찾아 외국의 민속공연을 흥미있게 관람하고 남녀노소가 모두 주인공이라는 생각으로 처음부터 각종 행사에 참가해 즐겁게 행사장을 나갈때 성공을 이미 예견됐었다.”고 활짝 웃었다.
이번 행사로 지역경제에 미친 효과도 대단했다.꼼꼼하게 더 챙겨봐야 하겠지만 전문가들은 일단 “650억원의 경제 파급효과를 가져왔다.”고 단언한다.
심 시장은 “강릉 단오제는 내년에 세계 인류무형유산 등록을 추진중인 명품인 만큼 이번 민속제를 계기로 세계속에 우뚝 세워 놓겠다.”면서 “앞으로도 테마별로 해외공연팀을 초청하는 등 연속성 있는 행사를 마련해 세계인들 속에 강릉 단오제를 심어 나가겠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강릉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