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환경운동연합은 지난달 24∼25일 이틀동안 자동차 통행량 등 비슷한 조건의 서울광장과 광화문 ‘시민 열린마당’ 주변 3곳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도를 나타내는 이산화질소의 양을 동시 측정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나무가 심어진 광화문 광장의 대기오염도는 64.1ppb(10억분률)로 서울광장보다 20ppb 이상 낮았다.
조사결과 서울광장 부근인 시청본관 옆과 프라자호텔 앞 신호기,시청역 5번 출구에서 잰 이산화질소 수치는 각각 73.9ppb,85.4ppb,81.2ppb로 모두 시 환경기준치 70ppb를 넘었다.
반면 나무가 있는 광화문 광장 부근 한국일보 앞과 광화문 지하보도 입구 옆의 경우 이산화질소 수치가 64.1ppb로 서울광장보다 최대 21ppb 낮았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이현정 간사는 “나무의 존재 유무에 따라 이산화질소 수치가 큰 차이가 나는 만큼 시는 서울광장 둘레에 대기오염에 강한 느티나무 등의 수목을 심어 자동차로부터 더 안전하고 쾌적한 광장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러나 시 최임광 총무과장은 “나무를 심을 경우 노숙자 증가 등으로 취지를 살리지 못하는 데다 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며 요구에 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또 “나무를 심으면 벤치 등 편의시설도 만들어야 한다.”고 반박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