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값은 평균 0.11% 하락, 이전주(-0.09%)보다 낙폭이 다소 커져 신행정수도 건설 제동에 따른 반사이익이 거의 반영되지 않았음을 보여줬다. 특히 강남(-0.3%), 강동(-0.26%), 송파(-0.13%) 등 강남권 아파트값 하락세가 컸다. 영등포구만 0.01% 상승했을 뿐 나머지 24개 구는 하락하거나 변동이 없었다.
신도시(-0.04%)는 이전주(-0.07%)에 비해 하락세가 다소 둔화됐다. 분당(-0.06%)과 일산(-0.06%)은 아파트값이 떨어졌고, 산본(0.01%)은 약간 올랐다. 평촌과 중동은 큰 변동이 없었다.
수도권(-0.07%)도 이전주(-0.11%)보다 낙폭이 약간 줄어든 가운데 성남(-0.82%), 하남(-0.93%), 의정부(-0.17%), 광명(-0.12%), 용인(-0.12%) 등이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컸다.
서울 재건축단지는 0.35% 하락해 전주(-0.13%)보다 내림폭이 커졌다. 다만 이미 건축심의를 마쳐 내년 4월 개발이익환수제 시행 이전에 분양승인 신청에 들어갈 것으로 보이는 단지는 0.02% 상승했다. 반면 환수제 적용이 불가피한 조합설립 인가단계(-0.86%), 예비안전 진단단계(-0.82%)의 단지는 많이 하락했다. 전셋값은 이사철이 끝나가면서 낙폭이 다시 커지는 추세다. 서울(-0.11%)과 신도시(-0.1%), 수도권(-0.09%) 모두 전셋값이 하락했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