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사회주택 피해 입주민에 ‘보증금 선지급’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종로구, 156년 만에 ‘서울 문묘와 성균관’ 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강남 양재천에서 즐기는 ‘별빛 요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주민들 지친 몸과 마음 치유하는 양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성공시대]슈퍼마켓 특화…나명환 사장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동네 슈퍼마켓으로는 생존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쌀이나 아이스크림 등 입지 조건과 주변 환경에 맞는 아이템으로 승부를 봐야 합니다.”

동네 슈퍼마켓은 지역의 사랑방이자 만물점 역할을 했다. 지척에 있는 데다 구멍가게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승부,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제집처럼 드나들던 곳이다.

그러나 최근 10년은 슈퍼마켓에 ‘수난의 시절’이었다. 대형할인점과 편의점의 ‘융단 폭격’이 시작된 탓이다.

이러한 가운데 특화 전략으로 자신의 매장 매출을 4배 가까이 올리고,200여곳의 슈퍼마켓 컨설팅을 도맡아 주가를 올리는 사람이 있다. 서울 양천구 목동 오마트 사장 나명환(46)씨가 그 주인공이다.


슈퍼마켓을 차별화해 성공을 거둔 ‘오마…
슈퍼마켓을 차별화해 성공을 거둔 ‘오마트’의 주인 나명환씨가 성공 노하우를 이야기하고 있다.작은 사진은 오씨가 아내 김영순씨와 오마트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검색하고 있는 모습.

오정식기자 oosing@seoul.co.kr


쌀, 소비자 입맛 맞게 재도정… 작년 2억여원어치 팔아

나씨가 슈퍼마켓을 운영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96년. 당시에는 말 그대로 ‘구멍가게’ 수준이었다. 월 매출은 950만원에 불과했다.

부인 김영순(45)씨와 365일 매달려도 한달에 순이익 200만원을 손에 쥐기 어려웠다. 반경 100m 안에 열 개가 넘는 점포가 오밀조밀 몰려 있던 탓에 매출 신장은 불가능했다.

나씨가 빼든 카드는 즉석 쌀. 주변 대단위 아파트단지의 소비자를 잡기 위해서는 건강식품이 거의 유일한 대안이었다. 지난 2002년부터 도정 기계를 갖추고 가게에서 현미와 일반미를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분도수로 방아를 찧어 팔았다. 경기도 평택 등 산지에서 구매한 1등급 쌀을 1년 단위로 계약해 언제나 질 좋은 쌀을 매장에 내놨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나씨의 쌀은 웰빙 바람을 타고 ‘건강미’로 입소문이 퍼졌다. 일반 소비자보다 고급 식당에서 주문이 쇄도했다. 지난해에만 5만 5000원 받는 20㎏들이 쌀을 4500부대나 팔았다. 쌀로만 무려 2억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다.

속옷 등 갖춘 편의점 변신… 1억 가까운 순익

시설도 대폭 개선했다.11평 남짓한 가게를 밝고 깨끗한 미니편의점으로 탈바꿈시켰다.

속옷, 일회용카메라 등 구멍가게에서 볼 수 없었던 물건들을 완비했다. 또 전화 등을 통한 외부 영업망도 확대했다.

결국 나씨의 가게는 지난해 매출 4억 5000여만원에 순이익만 1억원 가까이 올린 ‘빅 마트’로 변모했다.

나씨는 “처음에 시행착오도 많았지만 시설의 현대화와 함께 주변의 실정에 맞는 전략과 규모로 승부를 한 게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나씨의 인생은 그리 평탄하지는 않았다.1982년 제대한 뒤 고향 전북 김제에서 서울로 올라왔지만 쉽게 직장을 얻을 수 없었다. 오른쪽 귀가 들리지 않는 ‘벽’ 때문이었다. 그때부터 나씨는 유통업에 뛰어들었다. 슈퍼마켓, 쌀가게, 음료수 도매상 등 안 해본 게 없었다.

그러나 항상 맨몸으로 문제와 부딪혀야 했다. 과로와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심장마비로 두 번씩이나 쓰러졌을 정도였다.

인생의 쓴 맛을 본 사람이 다른 이의 어려움도 보듬을 수 있다. 그가 다른 이들의 창업을 돕고 있는 까닭이다.

나씨는 지난 2001년 정보가족 공모행사에서 정보통신부장관상을 수상한 실력파 네티즌이다. 인터넷 홈페이지(ohmart.net)를 통해 10년째 성공의 노하우를 전수하고 있다.

슈퍼마켓 창업 ‘전국구 컨설턴트’로도 활동

2년 전부터는 직접 매장까지 찾아가 무료로 컨설팅까지 해 주고 있다. 지난해 그의 도움을 받은 가게만 100여곳이나 된다. 수도권은 물론 부산 대구까지 한 걸음에 달려간다.

“고급 아이스크림이나 김밥, 반찬, 웰빙식단 등 주변 환경에 맞는 업종을 접목하면 매출이 100% 이상 올라갑니다. 주먹구구식으로 시작하는 분들을 보면 안타깝기만 해요.”

나씨는 양천구의 어린이보호시설에 10년째 후원금을 보내고 있다. 따로 결손가정도 챙긴다.

올 상반기 안으로 ‘성공하는 슈퍼마켓과 편의점 창업’이라는 제목으로 책까지 낼 예정이다.

앞으로의 목표는 서울시내 슈퍼마켓을 네트워크로 묶어 나씨의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적용하면서 물건을 싸게 공급하는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다.

나씨는 “몸은 힘들지만 나의 ‘달란트’로 다른 이를 도울 수 있는 기쁨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고 밝게 웃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지역 곳곳 목소리 전달… 대한민국 전체 바꿀 것”

기초단체장 최초 민주당 대변인 맡은 김미경 은평구청장

‘핫플’ 성수, “1.5조 동네 됐네”

10년 만에 연 경제 가치 3.5배 늘어 외국인 300만명 방문… 50배 급증 기업 유치·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정원오 성동구청장 “정책적 결실”

축제 사고율 0%… 중랑 안전관리 최우수상

AI로 인구 밀집도·혼잡 선제 조치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