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지구 미니신도시 앞에 자리잡은 김포농업기술센터는 영농지도자와 귀농인 등을 상대로 농업기술 교육을 연중 실시한다. 기수별로 50∼60명을 뽑아 주 2회씩 5∼6회 강연을 펼친다. 특히 IMF사태 이후 귀농인이 급격히 늘자 이들에게는 지도사가 1대 1로 상담·교육은 물론 사후 관리까지 해 준다.
김포는 다른 곳과는 달리 지역적 연고가 없는 대도시 출신 귀농인들이 많은 편으로, 주로 부가가치가 높은 화훼나 시설채소 등을 재배한다. 낯선 곳에서 새 삶을 시작하는 이들에게 농업기술센터는 ‘스승’과 같은 존재다.
소비자나 주말농장 운영 희망자들의 특화 작목에 대한 안목을 높여주기 위해 강의와 현장학습을 곁들인 체험교육을 실시한다. 포도·배·인삼·버섯 등 김포의 대표적 품목이 대상이다.
초·중·고생들의 견학도 잇따라 연간 3000여명이 이곳을 찾는다. 지난달 18일부터 지난 4일까지는 5개 면을 돌며 31회에 걸쳐 품목별로 새해영농교육을 실시했다.
이 센터는 새로운 분야 개척에도 열성이다. 기존 방식만으로는 농업 분야에도 불고 있는 변화를 따라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차원에서 지난해 6년근 수삼을 갈아 맥아즙과 함께 효모를 혼합시켜 알코올 발효를 유도한 ‘인삼맥주’ 개발에 성공했다.
관내 인삼농가 활성화를 위해 시도한 것인데, 언론의 큰 호응을 얻는 등 초장부터 빅히트를 쳤다. 인삼맥주는 인삼의 황금빛이 기존 맥주의 노란색에 풍부함을 더하고, 인삼 사포닌 성분의 톡 쏘는 맛이 맥주의 쌉쌀한 맛과 잘 어울린다는 평가다.
센터는 김포인삼협동조합이 대곶면 대명리에 건립을 추진 중인 김포인삼갤러리에서 인삼맥주를 만들어 소비자에게 직접 팔면서 대중화를 이끌 계획이다.
요즘 유행하는 ‘웰빙’에도 전도사임을 자처하고 나섰다. 기능성 쌀을 계속 개발함으로써 전국 제일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김포 금쌀’의 명성을 이어가겠다는 복안이다. 보다 업그레이드된 쌀 브랜드인 ‘자광진상미’와 ‘삼색미’를 재배,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