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생활의 변화도 있었다. 김씨는 93년 하루 19g의 쇠고기를 먹었지만 지난 2003년에는 18g으로 줄었다. 대신 10년 전보다 16g 늘어난 54g의 돼지고기를 먹었다.
●출생 급감 이혼 급증
서울시는 토지·인구·노동 등 20개 분야의 통계를 취합한 ‘2004 서울통계연보’를 8일 발간했다. 이번 통계는 2003년 12월 기준이다.
2003년 서울시 전체 인구는 1028만여명. 전년에 비해 4만여명,93년에 비해 64만여명 감소했다. 매일 274명이 태어나고,103명이 사망했다. 사망자는 10년 전(106명)과 비슷하지만 출생자(491명)는 거의 절반에 그쳐 인구감소를 실감할 수 있었다. 결혼건수는 93년 하루 225쌍에서 2003년 199쌍으로 10% 이상 감소했다. 대신 이혼부부는 37쌍에서 89쌍으로 2.4배 늘었다. 총 취업자는 475만 3000여명으로 93년에 비해 12만여명 늘었으나 30세 미만의 취업자수 비중이 93년 32.36%에서 24.57%에 그쳐 최근의 ’청년 실업’을 반영했다.
●소득·지방세 두 배 이상 뛰어
서울 근로자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136만 7000원에서 274만 2000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반면 지방세납부액은 29만 9000원에서 96만 5000원으로 3.2배 증가했다.
가구당 소비지출을 부문별로 보면 식료품이 29.5%에서 26.0%로 조금 줄었으나 여전히 가장 많았다. 교통·통신비는 9.6%에서 16.4%로 크게 늘어 정보화사회를 뒷받침했다. 교통사고 하루 사망자는 2.2명에서 1.4명으로 줄었고 하루 차량 증가세도 497대에서 233대로 감소했다. 육류 소비형태도 변했다.2003년 하루 쇠고기소비량은 990마리.
93년 1048마리보다 낮은 것은 물론, 최근 불경기의 여파로 2002년 1218마리의 80% 수준까지 떨어졌다. 대신 돼지고기는 93년 하루 7528마리에서 1만 917마리로 증가했다.
●건축허가 10년 전 절반 수준
서울 시내 총 사업체수는 74만 8953개며 전국 사업체수의 23.4%가 서울에 몰려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건축허가는 1일 평균 49동에 대해 이뤄졌다. 건설 경기가 활황이던 93년의 81동보다 많이 떨어졌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