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둥 12개 모두 ‘신음’… 연말까지 ‘치료’
문화재청은 “지난해 6월 공사를 시작할 때는 기와만 교체해서 6개월 만에 보수를 끝내려고 했지만 모든 기둥의 밑동이 부식된 게 새롭게 발견됐다.”면서 “관계 전문가의 자문 결과 기둥 밑동 교체작업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어 올해 12월까지 공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18일 밝혔다.
대한문의 기둥은 모두 12개로 육송(陸松)으로 만들어졌다.
길이 7.9m의 고주는 2개, 나머지는 5.5m짜리 평주이다. 지름은 모두 54㎝ 정도이다.
기둥의 문제점은 대한문 해체 작업 도중 발견됐다. 대한문은 보수 공사에 착수할 당시 기와가 낡아 물이 새곤 했다. 이 바람에 오른쪽 하단 판벽과 중앙 문짝이 뒤틀리고 건물 전체가 왼쪽으로 기우는 문제점까지 발생했다.
●건축물 전체 왼쪽으로 기울어
이에 지붕 보수를 위해 대한문 전체를 다 분리시켜놓고 보니 건물을 지탱하는 기둥의 밑동이 지붕에서 샌 물 때문에 대부분 썩어 있었다.
문화재청은 상태가 양호한 기둥의 가운데 이상 부분은 원래 목재를 활용할 계획이다. 옛것을 그대로 보전한다는 문화재 보호의 원래 취지를 살릴 뿐 아니라 과거의 육송이 요즘 것보다 재질이 좋기 때문이다. 대신 똑같은 종류의 최상급 소나무를 구해 밑동 부분만 교체할 예정이다.
또 기와는 새로 교체할 물량을 선별한 뒤, 원래 모습에 맞게 보충할 계획이다. 서까래와 도리 등 썩거나 부러진 부분도 완전히 교체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누수가 안 되는 것은 물론, 영구적으로 자연 훼손이 되지 않을 정도까지 완벽하게 복구 공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문은 지붕의 무게를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에 짜 맞춘 나무인 공포가 여러 개 있는 다포계(多包系) 건물에 해당한다.
원래 대안문(大安門)으로 불렸지만 지난 1906년 수리 뒤 고종의 명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968년 태평로 도로확장 때 덕수궁 담장이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1970년 원래 위치에서 약 22m 안쪽의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대한문 보수 공사에는 13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보수 공사로 대한문 대신 덕수궁 동북쪽의 소방문이 덕수궁의 임시 정문으로 사용되고 있다.
문화재청은 2008년까지 5년 계획으로 모두 300억원을 투입해 덕수궁 복원정비공사에 들어가면서 첫 단계로 대한문 보수공사에 착수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