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관내에 있는 영등포교도소·구치소까지 이전하게 되면 서울 서남권의 중심지로 발돋움할 것으로 보인다.
고척동의 면적은 2.16㎢.2001년 현재 5만 6000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동쪽으로 안양천을 경계로 구로동과 마주보고 있다. 남쪽은 개봉동, 북쪽과 서쪽은 양천구 신정동과 맞닿아 있다.
동이름은 이곳의 자연부락 중 하나인 고좌리(高座里)에서 따왔다는 설이 유력하다. 고좌리는 ‘높은 곳에 생긴 마을’이라는 뜻이다.
또 이곳은 원래 경기도 부천·안양·강화 사람들이 서울 사람들과 안양천을 경계로 생필품과 농산물 등을 교환하던 장소였다.
당시 교환을 위해 계량기 대신 긴 자(고척·高尺)로 측정했다는 데서도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일제 말기까지는 경기도 부평, 이후 부천에 속해 있다가 지난 1963년 서울 영등포구,80년 구로구에 편입됐다. 법정동인 고척동은 고척1·2동의 행정동으로 나눠져 있다.
고척동에는 9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일반 주택과 소규모 공장들이 난립해 있었다. 그러나 90년대 후반부터 아파트들이 들어서면서 주거 중심지역으로 변모했다. 구 유일의 대학인 동양공업전문대학과 서울유형문화재 80호인 함양 여씨묘역도 고척동에 있다.
사실 고척동을 이야기하면서 영등포교도소와 구치소를 빼놓을 수 없다. 교도소는 48년, 구치소는 68년에 각각 건립됐다. 최근까지 민주화운동 인사들의 ‘큰집’으로 오명을 남기기도 했다.
88년 전국을 발칵 뒤집은 ‘지강헌 탈주사건’도 탈주범들이 영등포구치소에서 대전교도소로 이감되다가 탈출하면서 시작됐다.
영등포교도소·구치소 이전은 이미 96년부터 추진됐다. 그러나 경기도 부천, 시흥, 안산 등 이전예정지로 거론되던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논의가 중단됐다.2002년 말 구로구 안의 개발제한구역으로 옮기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면서 이전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영등포교도소·구치소는 지난 28일 건교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결정으로 천왕동 120일대로 옮기게 됐다.
새 교정시설은 내년 하반기에 착공,2008년까지 완공될 예정이다.
구로구는 교정시설 부지를 문화·레저·유통 등 복합단지로 개발하기 위해 올해 말까지 종합개발계획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서울 교정시설 가운데 87년 경기도 의왕 서울구치소로 자리를 옮긴 서대문교도소에 이어 두번째 이전 사례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