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까지만 해도 대학가는 사회를 이끌어가는 청년 문화의 산실이었다. 학교 앞 막걸리집은 시대의 어둠을 걷어내려는 젊은 지성들의 의지로 번뜩였다. 학교 잔디밭에서는 서정적인 민중 가요와 우리 가락이 울려퍼졌다.
그러나 90년대의 대학가는 ‘자본의 탈출구’로 변질됐다. 서점과 막걸리집은 휘황찬란한 호프집과 PC방으로 변했다. 소극장들은 치솟는 임대료를 견디다 못해 떠났고, 비디오방과 여관이 빈 자리를 채웠다.
이번 계획은 때묻지 않은 청년 문화의 산실로 대학가를 되살리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사업은 건물 신축보다는 노후건물 외관을 재단장하는 정비 위주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는 지구단위계획 및 환경정비계획에 의해 자치구와 함께 우선정비대상 대학가의 공공시설 정비나 가로시설물 설치 등을 맡게 된다. 건축물 외관과 간판정비 등은 민간에게 맡긴다. 이들에게는 용적률 등을 올려주는 인센티브도 제공될 예정이다.
김효수 도시관리과장은 “대학생들이 좋은 환경에서 공부하고 생활할 수 있는 대학가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여관 등 대학가에 어울리지 않는 업소의 진입은 막고, 공연장이나 소극장 등 문화 시설의 유입을 최대한 유도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대상 대학가는 모두 18곳이다. 지난해 시범 지역으로 지정된 이화여대와 경희대 주변을 비롯, 올해부터 홍익대와 고려대, 중앙대, 한양대, 숙명여대, 성균관대 주변이 그 대상이다. 이어 서강대와 광운대, 경기대, 명지대, 숭실대, 동국대, 서울시립대, 서울산업대, 단국대, 동덕여대 등 10개 대학이 내년과 2007년에 단계적으로 정비된다.
이번 계획은 어느 정도 대학가가 형성이 된 곳을 대상으로 했다. 대학가가 대학에서 떨어져 있는 서울대나 이미 지구단위계획 대상지인 건국대, 외국어대 등은 제외됐다. 모두 360억여원이 투입된다.
계획의 특징은 대학가의 개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진행된다는 점이다. 올해 계획이 시작될 고려대는 인근 동북지역 대학 문화벨트의 거점으로 개발된다. 안암역 주변의 대학 기반시설을 정비하고, 하숙생들을 위한 주거환경 개선사업도 함께 실시된다.
청년 문화의 산실인 홍익대는 본격적인 문화중심지로 거듭난다. 올해 안에 주변 지역의 지구단위·환경정비계획을 수립, 예술문화의 ‘하드웨어’를 제공하고 보행 환경도 개선한다.
이밖에 ▲한양대는 왕십리 민자역사 역세권 개발과 연계한 주변 상권 정비 ▲중앙대는 담장 개방 등을 통한 ‘열린 대학가’ 조성 ▲성균관대는 전통문화의 보전·육성 ▲숙명여대는 ‘걷고 싶은 대학가’로 조성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올해 20억원을 들여 지구단위계획과 환경정비계획을 수립하고, 내년부터 120억원을 투입해 본격적인 정비사업에 들어간다. 이번 계획을 만든 시정개발연구원 박현찬 박사는 “환경 개선까지 노리고 있어 계획 완료 뒤 2∼3년 뒤면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