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여기도 사람들의 뜨거운 호흡이 있는 곳. 물질적 풍요와는 거리가 있지만 오가는 시민들의 얼굴에는 나름대로 생기가 돈다. 다른 사람보다 앞서고 뭔가를 해내려는 남쪽의 긴박한 생동감과는 달리, 느슨하면서도 강단 있어 보이는 활기다.
요즘 평양은 6·15 공동선언 5주년 행사 준비로 부산하다. 평양거리는 전체가 보도블록을 교체하는 작업을 펴고 있으며 한쪽에서는 거리행사를 연습한다. 알려진 대로 평양의 반듯한 건물은 거의 모두 김일성 부자를 찬양하거나 사회주의를 선양하는 간판이 걸려 있다. 얼마 전 자신의 초상화를 철거하라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가 있었다지만 초행자에게는 가슴에 와닿지 않는다.“우상화 구호가 평양의 이미지를 망친다.”는 말이 과장만은 아닌 듯싶다.
북측이 방문객들에게 필수 코스로 보여주는 만경대 학생소년궁전의 어린이 가극은 기교가 놀랄 만큼 뛰어나 인천시대표단은 아낌없는 박수는 보냈다. 하지만 앙증스럽다 못해 기계 같은 어린이들의 언행은 형용할 수 없는 느낌으로 다가왔다.
농촌에서는 모내기가 한창이다. 여기서는 직장인들도 보름씩 짬을 내 모내기를 돕는다. 줄지어 모는 심는 모습은 남쪽과 다를 바 없지만 옆에 서 있는 ‘모내기전투중’이라는 팻말이 체제의 다름을 상징한다.
평양을 벗어나 묘향산으로 가는 도중 만난 주민들은 평양 시민들보다 차림이 남루하고 행동은 더뎌 보였다. 그러나 대화를 나눠보면 심성의 순박함이 드러난다. 묘향산호텔에서 시설관리인으로 일한다는 한 주민은 자신의 월급이 북한 화폐로 2000원이라고 밝혔다. 이곳에서는 쌀 10㎏이 1000원 정도다. 식량 사정을 묻는 질문에는 “지난해 어렵기는 했지만 똘똘 뭉쳐 이겨냈다.”고 답했다. 해어진 옷에 50년대식 운동화를 신고 있는 주민에게 “행복하다고 느끼십니까.”라고 물었더니 수줍은 미소를 띠더니 “행복하다.”고 말한다. 꾸미거나 강요에 의한 답변이라는 느낌은 들지 않았다. 문득 이들이 진정으로 행복한 마음으로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삶에 대한 평가는 다른 세계를 보고 비교했을 때 비로소 가능한, 상대성이 있기 때문이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