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이춘식 정무부시장은 시 공무원들 사이에서 온화하고 친화력 있는 간부로 정평이 높다. 이는 절반 이상이 경북대부속고 재학 시절 탐독했던 논어 덕분이다.
그가 논어에 손을 댄 것은 많은 이들이 공자를 말하면서도 정작 제대로 아는 사람은 없었기 때문이다.
논어는 이 부시장에게 일종의 ‘지적 충격’이었다.‘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지 못함을 걱정하라’(不患人之不己知,患不知人也),‘군자는 화합하지만 부화뇌동하지 않는다.’(君子和而不同) 등의 귀절은 한창 예민하던 청소년 시절의 이 부시장에게 오롯이 새겨졌다.
“요즘도 매일 잠들기 전 ‘남을 위해 충실했나, 벗에게 믿음직스러웠나, 가르침을 익히지 못하지 않았나’라고 세 번 반성(日三省)하곤 합니다.”
그에게 있어 논어는 종교를 떠나 사람과 사람의 올바른 관계를 설명해 주는 교과서다. 논어를 통해 공자가 들려주는 삶의 지침은 오랜 정당과 공직 생활에서 올바른 방향을 비추는 ‘등대’가 됐다.
이 부시장은 원래 대학(연세대 행정학과) 졸업 후 일반 회사에 취직했다. 그러나 ‘개인의 발전에 상응하게 사회에 기여해야 한다.’는 생각에 회사를 그만두고 민정당에서 당직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바쁜 정당 생활에서도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 특히 청년국에서 일하던 80년대 말에는 마르크스 원전이나 김일성 저작 등 사회주의 서적도 탐독했다. 민주화운동에 헌신하던 청년들과 대화를 하기 위해서였다. 불교, 기독교는 물론 힌두교, 이슬람, 조로아스터교 등 동서양의 종교 서적도 섭렵했다.
요즘은 서강대 장영희 교수의 ‘문학의 숲을 거닐다.’에 한창 빠져 있다. 그는 “‘사랑하는 것, 그리고 견뎌내는 것,…이것만이 인생이고, 기쁨이며, 왕국이고, 승리이다.’라는 셸리의 시구에 매혹됐다.”고 밝게 웃었다.
이 부시장이 요즘 자주 떠올리는 단어는 이순(耳順)이다.49년생인 그는 아직 예순을 몇 해 남겨뒀지만 ‘무슨 말을 들어도 귀에 거슬리지 않는다.’는 자세를 익히려 하고 있다. 이 부시장은 “‘어떤 말이라도 나름의 이유가 있다.’고 먼저 생각하는 게 공복의 자세”라면서 “어디에 있건 앞으로도 사회에 봉사하는 자세는 버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