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최근 열린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이들 구역을 각각 주택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지정했다고 24일 밝혔다.
노량진 1구역은 동작구 송학대공원 아래쪽 122의37 일대 5300여평이며 가좌 1구역은 서대문구 북가좌동 75 일대 6000여평, 가좌 2구역은 남가좌동 240 일대 7800여평 규모다.
전략사업구역은 2차 뉴타운지구 내에서 다른 지역으로의 개발 파급효과가 큰 지역이다. 자치구가 주도적으로 정비구역으로 개발할 수 있으며, 지난 3월 19군데가 지정됐다.
기존에는 민간이 정비계획이 포함된 제안서를 작성한 뒤 정비구역 지정을 자치구에 제안하고, 자치구가 서울시에 이를 신청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주민 동의와 부담금 산정 등으로 구역 지정에만 2년 넘게 걸렸다.
그러나 전략사업구역 내에서는 시가 특정 지역을 정비구역으로 지정하면 자치구가 기존 개발기본계획을 활용해 정비계획을 수립하게 돼 소요 기간이 1년 정도로 크게 짧아진다.
노량진 1구역과 가좌 1·2구역은 정비계획 수립과 재개발 조합 설립, 시공사 선정, 사업계획 수립, 관리처분계획 인가 등의 절차를 거쳐 올해 안에 재개발 착공이 가능할 전망이다.
또 서울시는 도시기반시설이 부족한 노량진 구역에 77억원을 지원,1200여평의 공원을 조성할 방침이다. 반면 가좌 구역의 경우 도시기반시설이 비교적 잘 갖춰졌다고 보고 별도 예산 지원을 하지 않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3개 구역은 시에서 예산을 지원, 구청이 정비계획을 수립하도록 할 계획이어서 주민갈등 없이 신속하게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나머지 전략사업구역도 빨리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