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의회 강희일(64·상도5동) 의장은 2대 때부터 동작구 의원으로 활동해왔다. 강 의장은 충남 청양 출신이지만 30여년 동안 이 곳에 살아 동작구가 ‘제 2의 고향’이 됐다.
4대 이전의 구 의원의 역할은 ‘지역 일꾼’에 가까웠다.‘맨홀이 깨졌다.’‘하수구가 막힌다.’는 등 주민들의 각종 민원을 해결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다 보니 지역에만 매몰되고, 문제를 제도적으로 개선하는 데에는 미흡했다.
●의장 관용차 없애고 의원 윤리강령 현실화
그러나 강 의장이 취임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강 의장은 각종 문제를 조례 등 절차를 통해 해결하는 데 주력했다. 동작구 노인휴양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안 등을 통과시켰다. 또한 의회의 잘못된 점들을 뜯어고쳤다. 의회와 의원들이 달라지지 않으면 체계적인 민생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시대에 뒤떨어져 있던 의원 윤리 강령을 고치고, 의장단실 바깥에 주민들이 기다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또 의원 대기실에도 칸막이를 설치해 연구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지요. 의장 관용차도 없앴습니다. 작은 것이지만 의회의 분위기를 바꾸는 데 일조했습니다.”
충실한 의정 활동은 지난달 펴낸 ‘해외도시 비교 시찰 보고서’로 결실을 맺었다.4월23일부터 29일까지 체코 프라하, 헝가리 부다페스트, 오스트리아 빈 등을 탐방하고 온 결과물이다.70여쪽 분량으로 각국 도시의 교통과 환경, 문화 등에 대해 의원들의 진솔한 느낌과 대안을 충실히 소개했다.“국민성이나 문화 등 이들 나라가 어떻게 살아왔는지에 대한 이면을 발견하자는 취지”라고 강 의장은 설명했다.
임기를 불과 10개월여 남겨두고 있지만 동작구의회의 활동은 활발하다. 동작구는 복지 분야 5년 연속 최우수구로 뽑혔다. 구 의회도 복지 강화를 위해 더욱 힘을 보탤 예정이다.
대표적인 사업은 틈새계층에 대한 지원 강화를 꼽을 수 있다. 기초생활수급 대상자들은 법적으로 보호를 받지만 차상위계층은 관심에서 멀어지기 일쑤다. 동작구의회는 구청 관련 국장들과 의회 의원들, 전문가들이 모인 특별심사위원회를 구성해서 혜택을 받는 틈새계층을 현재 600가구에서 1000가구까지 늘릴 예정이다.
●‘동작 관광투어 개발´에도 심혈
현재 일부 지역이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노량진뉴타운 사업도 역점 사업 가운데 하나다. 상도역∼봉천고개 구간을 프랑스 파리 샹젤리제 거리처럼 꾸미는 ‘동작구 상징거리 조성사업’, 관악로의 명칭을 ‘상도대로’로 교체, 동작 관광투어 개발 등에도 힘쓰고 있다.
강 의장은 “‘눌변이 설득력이 있다.’는 말처럼 조용하면서도 실질적인 변화를 꾀하고 있다.”면서 “체계적으로 민생이 개선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