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 그 이상의 부단체장
“마음이 풍요롭게 사는 것은 창의력의 원천입니다. 요즘 미술에 매달려 사는 이유이기도 하지요.”서울 구로구 이성(49) 부구청장 사무실 왼편에는 유화 한 작품이 걸려 있다. 이 부구청장이 손수 그린 ‘겨울 산길’이라는 그림이다.
그는 5년 전 가족과 함께 세계일주를 다녀오면서 40대 중년들의 ‘우상’이 됐다. 최근 각종 미술 대전에서 입상을 하면서 ‘화가’라는 별칭까지 얻었다. 그는 지천명(知天命)을 바라보는 나이에 이젤 앞에서 ‘제2의 인생’을 열어가고 있다.
●잠자던 재능 깨운 열정
이 부구청장이 붓을 잡은 것은 지난 2003년. 고등학교 졸업 뒤 30년 가까이 지난 뒤였다.40대 들어 숙원 사업 가운데 하나였다. 서울 용산 삼각지의 한 화실에서 매주 토요일 하루 종일 캔버스와 함께 살았다.
그의 학창시절 미술 점수는 썩 좋지 않았다. 그러나 열정은 잠자고 있던 미술 재능을 깨웠다. 지난해 유화 ‘어제, 오늘의 빛과 그림자’로 글로벌미술대전에서 입선한 데 이어 올해에는 ‘내일은 만선’으로 세계 평화미술대전에서 특선을 차지했다. 지난달 20일 서울 인사동 조형갤러리에서 열린 ‘귀목회전’ 등 단체전도 여러번 가졌다. 아내도 최근 수채화를 그리기 시작하는 등 가족들의 반응도 좋다.
“직원들에게 취미 생활을 적극적으로 하라고 권하는 편입니다. 창의력은 그냥 튀어나오는 게 아닙니다. 다양한 활동을 통해 다른 생각을 하면서 나오는 법입니다. 결국 취미가 업무에 도움이 되는 셈이지요.”
요즘에는 모임 ‘예인회’ 활동을 더했다. 예인회는 말 그대로 예술가들의 모임이다.30대 후반에서 60대까지 거의 모든 연령대를 망라했다.
회원들의 면면도 화려하다.‘아 대한민국’과 ‘인생은 미완성’ 등을 작사한 한국 대중가요사의 산증인 박건호, 김지평씨를 비롯해 전 MBC실내악단 단장 강경수씨, 한복디자이너 고종목씨 등 음악, 미술, 문학 등의 ‘꾼’들이 20여명이나 모였다. 이 부구청장은 이 모임의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모든 장르의 예술인들이 모였으니 좋은 일을 할 기회도 많습니다. 무료 연주회나 시낭송회, 그림 전시회를 갖기도 합니다. 지난해에는 구로구민회관에서 무료 공연도 했지요.”
●남은 인생, 꿈 찾아 나설 것
그의 ‘예술사랑’은 십수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때부터 연극, 음악, 미술 등 공연이란 공연은 가리지 않고 다녔다. 특히 ‘듣는 귀’는 애호가 수준을 뛰어 넘는다.1999년 수필로 문학세계 신인문학상을 수상한 ‘작가’이기도 하다.
세종문화회관도 그 때문에 몇 번 ‘뒤집어’졌다. 당시만 하더라도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던 시절이었다. 공연 표를 공연장 입구가 아닌 세종문화회관 정문 입구에서 받는 바람에 표 없는 일반인들은 회관에 발도 못 들여놨다. 공연 시간이 지나도 관람객을 계속 들여보내 연주 도중에도 사람들이 왔다갔다 할 정도였다. 이 부구청장은 “한 세계적인 지휘자는 공연이 끝나자마자 앙코르도 안 받고 나가버릴 정도였다.”면서 “시청 내부 전산망에 글을 띄워 결국 시정됐다.”고 말했다.
이 부구청장은 80년 행시 24회로 공직을 시작했다. 동기 가운데 가장 잘 나갔다. 명석함과 함께 남들보다 두 배 이상 열심히 일했다. 요직도 거치고 승진도 빨랐다. 그러나 요즘은 승진에 대한 욕심을 비웠다.
몇 개월 전부터 책상에 영어 교재인 성문종합영어도 갖다 놨다. 기회가 되면 예술 분야의 학부에 다시 진학하려고 한다. 여전히 ‘꿈꾸고’ 있는 게 많기 때문이다. 그는 “미술 등 하고 싶은 것들을 하면서 더욱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게 진정한 목표”라며 밝게 웃었다.
글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이성 부구청장의 발자취▲1956년 경북 점촌 출생
▲1980년 고려대 법대 졸업 행정고시(24회) 합격
▲1980년∼2000년 서울시 행정과장, 시정개혁단장 등 역임
▲1999년 문학세계 신인문학상(수필) 수상
▲2000년 7월 가족들과 함께 세계 일주,1년 동안 40여개 나라 200여개 도시 여행
▲2002년∼현재 구로구 부구청장(3급)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