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유인촌)은 22일 이같이 밝히고 작품의 시안을 공개했다. 내년 6월 청계광장에 설치될 ‘스프링’은 높이 20m 밑부분 폭 6m 규모다. 뾰족하게 솟은 원뿔 형태로 붉은색과 푸른색이 나선형으로 올라가는 다슬기 모양이다.
안은 터널처럼 뚫어 조형물 아래 구멍을 통해 내부도 볼 수 있다. 내부에는 푸른색과 붉은색 리본이 꽈배기처럼 꼬여 드리워진다. 또한 조형물 맨 밑에서 흘러나온 물은 조형물 앞 연못과 미니청계천을 거쳐 청계천으로 들어가게 된다.
재료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 혼합매체를 사용해 내부는 부드럽고 외부는 거친 표면으로 제작된다. 제작비는 작가료 60만달러(약 6억원)를 포함, 모두 340만달러(34억원)가 들어간다. 전액 KT가 기부하기로 했다.
청계천 상징조형물은 2003년 12월 청계천 복원 사업 회의에서 처음 제안됐다. 이후 서울시 내부 논의에서 세계적 작가에 의뢰해 청계천 사업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예술 조형물을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서울문화재단 유인촌 대표는 “서울시립미술관으로부터 올덴버그를 포함한 3명의 세계적 작가를 추천받은 뒤, 올덴버그로부터 시안을 제출받아 시 미술장식품분과위원회 검토를 거쳤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민사회단체와 미술계는 청계천 조형물이 공적 장소에 들어서는 공공미술 영역임에도 불구, 작가 선정 등을 위한 공청회도 거치지 않은 밀실행정의 표본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또 올덴버그가 청계천을 단 한 차례도 방문하지 않고 시안을 작성, 작품이 도심 생태 복원이라는 청계천의 원래 의미를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문화연대 이원재 공동사무처장은 “예술가의 브랜드만 보고 조형물을 세우는 것은 명품만을 고집하는 소비 행태와 같다.”면서 “올덴버그의 작품세계가 쌍안경, 빨래집게 등을 수천 배 확대하는 식의 ‘산업자본주의에 대한 찬가’라는 평가를 고려할 때, 청계천 복원의 역사적, 생태적, 문화적 의미와는 거리가 멀다.”고 꼬집었다.
이두걸 김유영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