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예정지는 어떤 곳?
|
또 낮은 구릉지에 남쪽으로 넓게 트여 있어 도시개발과 시설배치가 쉽고 예당저수지와 삽교호, 보령댐 등이 인근에 있어 용수확보가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다. 교통도 좋아 국도 21호와 29호가 X자로 교차하고 서해안의 동맥인 장항선과 서해안고속도로, 당진∼대전간 고속도로가 통과한다. 또 인근에 수덕사와 덕산온천 등 30분∼1시간 권역에 주요 관광지가 자리잡고 있다. 아산과 서산, 당진 등 충남 신흥공업지역과도 가깝다.
그러나 큰 강이나 바다가 없어 입체도시로 개발하기 어렵고 고속철도(KTX) 및 공항 등과 연계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이 단점이다.
●자치단체와 주민들 희비교차
충남도청 이전지로 결정된 홍성군과 예산군은 잔치분위기에 휩싸였다. 이날 오후 5시30분부터 홍성군청 앞에서 홍성역에 이르는 시가지에서는 풍물공연이 펼쳐졌다. 채현병 홍성군수는 “군민에게 발전 가능성에 대한 확신과 용기를 심어줬다.”고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예산에서는 삽교읍, 예산읍, 덕산면 일대에 10여개의 플래카드가 내걸리고 애드벌룬이 띄워졌다. 박종순 예산군수는 “도청이전으로 충남 서부지역 발전이 크게 앞당겨지게 됐다.”고 반겼다.
반면 2·3위로 탈락한 청양군과 보령시 주민들은 허탈감을 감추지 못했다. 청양읍 읍내리에 사는 주민 김기준씨는 “청양은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역이어서 당연히 청양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는데 아쉽다.”고 말했다.
●남은 과제
도청 이전 예정지 선정은 지역 균형개발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해결해야 할 문제점도 수두룩하다.
먼저 오는 20일 도의회 임시회에 상정될 ‘도청소재지 변경에 관한 조례’ 처리와 탈락한 일부 시·군의 반발을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선결 과제다.
재원 조달도 문제다. 심대평 지사는 이전에 따른 재원이 넉넉하다고 강조하고 있으나 수조원에 이르는 개발비용은 도재정에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도를 없애고 2∼5개 시·군·구를 하나로 묶어 전국을 60∼70개 통합시로 개편하려는 ‘지방행정체제 개편기본법’이 추진되고 있는 것도 변수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도청이전 사업은 백지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06-2-13 0:0:0 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