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렴위는 ‘골프 금지령’의 대상이던 공무원은 물론 일반시민들로부터도 ‘뭇매’를 맞았다. 하루 평균 5건 이하의 글로 한산하기만 하던 청렴위 홈페이지 게시판은 28∼29일에만 수십건의 비판성 글이 쏟아졌다.
‘서울시민’이라고 밝힌 네티즌은 “융통성과 비겁함은 구별해야 한다.”면서 “(청렴위의) 이번 처신은 실망”이라고 밝혔다.‘아일러뷰’는 “공직자 직무 관련 골프 금지 지침이 나와서 신선한 충격에 박수를 보냈다.”면서 “5일만에 사실상 직무 관련 골프를 허용하니 청렴위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무너져 내리는 기분”이라고 토로했다.‘강은정’도 “국가청렴위원회란 이름에 걸맞지 않은 대책을 내놓아 많이 씁쓸하다.”고 말했다.
정성진 청렴위원장은 29일 국정브리핑에서 “공직자가 거짓말을 하지 않고도 이행할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해 구체적인 룰을 제시한 것”이라고 ‘번복 배경’을 설명했지만 여전히 수긍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지배적이었다. 중앙부처의 국장급 공무원은 “청렴위 설명에도 불구하고 골프를 할 수 있는 직무관련자의 범위는 여전히 헷갈리는 부분”이라면서 “적어도 청렴위가 이번에 골프라는 운동과 골프를 하는 공직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확산시킨 것만은 확실하다.”고 꼬집었다.
또다른 국장급 공무원도 “공직자 골프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책을 내놓아야 하는 청렴위의 입장은 이해한다.”면서 “그러나 섣부른 대책이 오히려 불에 기름을 부은 꼴이 됐다.”고 지적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