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제가 오영교 전 장관이 추진한 ‘행자부 혁신’의 핵심 사안이었다는 점에서 ‘일방통행식 혁신’이 결국 좌초하고 말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행자부 관계자는 “기존 팀제에 대한 비난 여론이 높은 만큼, 인원이 많은 팀을 중심으로 소팀장 격인 파트 리더를 빠른 시일 안에 확대할 것”이라고 6일 밝혔다. 일단 운영지원팀 등 5∼6개 팀이 도입 대상이다. 파트 리더는 계장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다만 총괄 업무를 맡던 계장과는 달리 일반 팀원처럼 자기 업무도 주어지는 것이 다를 뿐이다.
기존의 행자부 ‘팀 운영지침’에도 구성원이 30명이 넘으면 별도의 그룹 활동이 필요하고,5명 이상의 팀원을 이끌어야 하면 파트 리더를 둘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주민제도팀 등 2개 팀에서 이미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지침의 조건을 더욱 완화해 파트 리더를 늘려 나가겠다는 것이다. 팀제에 대한 불만은 지난해 3월 도입될 때부터 있었다. 팀원 한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이 있는 만큼 불가피하게 소팀을 운영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무시했기 때문이다.
지난 4일 이용섭 장관이 직원들과 대화하는 자리에서도 팀제에 대한 불만이 쏟아졌다. 직원들은 ▲사무관이 현실적으로 계장 역할까지 하는 바람에 업무가 과중하고 ▲팀의 중간관리자가 없어지면서 팀원들 사이의 업무 능력 격차가 벌어졌다고 ‘성토’했다.
파트 리더의 조건을 완화한다는 것은 상당부분 ‘오 전 장관의 혁신’ 이전의 상태로 돌아간다는 것을 뜻한다. 이에 따라 통일부, 국정홍보처 등 17개 부처와 공기업 등 행자부 사례를 ‘모범’으로 팀제를 도입한 다른 기관들도 골치를 앓게 됐다.
행자부 내부에서는 이런 ‘파행’의 원인을 오 전 장관 스스로가 제공했다고 본다. 한 직원은 “전임 장관은 직원들의 의견에는 귀막으면서 밀어붙이기로만 일관, 결과적으로 ‘비효율적인 혁신’에 매진했다.”면서 “이상이라는 침대에 맞춰 현실의 다리를 잘라버린 셈”이라고 꼬집었다.
성과관리시스템 등 오 전 장관이 자랑했던 치적들도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한 직원은 “팀제나 성과관리시스템을 현행대로 고집하는 것은 파울 홈런을 쳐놓고선 홈런이라고 우기는 격”이라면서 “시민 생활을 향상시키고 사회를 발전시킨다는 혁신의 본래 의미를 되살려야 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