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임명동의안을 지난달 31일 국회에 제출했다. 국회는 임명동의안이 제출된 지 2일 안에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을 선임하고,15일 안에 청문회를 개최하고,20일 안에 인준 표결 등 임명동의 절차를 마쳐야 한다. 따라서 국회법에 따르면 오는 19일이 ‘데드 라인’인 셈이다.
그러나 10일 현재 여야는 ‘첫 단계’인 인사청문특위 위원조차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열린우리당 김한길, 한나라당 이재오 원내대표는 11일 만나 인사청문회 등 4월 임시국회 현안을 최종 조율할 예정이다. 하지만 지난 주말 회동에서도 당적 문제를 놓고 타협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채 의견 차이만 확인했을 뿐이다.
두 사람이 극적으로 청문회 일정에 합의하더라도 인사청문회에 참석할 증인은 청문회 시작 5일 전까지 출석 요청을 해야 하므로 ‘졸속’ 또는 ‘지각’ 처리가 불가피하다.
한편 한 총리 후보는 지난달 27일 이후 서울 창성동 정부청사 별관에 마련된 임시 사무실에서 보름째 ‘칩거 아닌 칩거’를 하고 있다.
총리실 관계자는 “지난주 업무보고를 모두 마쳤으며, 이번주부터 청문회 준비에 주력하고 있다.”면서 “불필요한 오해를 사지 않으려 대외 활동은 가급적 자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점심 식사는 대부분 사무실에서 이웃한 식당에서 해결하고, 업무시간이 끝나면 곧바로 귀가하고 있는 등 정력적으로 대외활동을 하던 국회의원 때와는 크게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6-4-11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