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청노조는 17일 성명을 내고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육청 간부들이 대거 학운위에 진출한 것은 선거 공정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며 “이들의 학운위원 사퇴운동을 펴나가겠다.”고 밝혔다.
본청에서 과장(서기관) 11명중 9명, 장학사 이상 간부 16명, 사무관 이상 직원 11명,6급 이하 직원 10명 등 모두 46명이 초·중·고교 학운위원으로 선출됐다.
동부교육청의 경우 국장 1명, 과장 6명 가운데 5명, 장학사 이상 간부 8명,6급 이하 직원 3명 등 모두 16명이 학운위원으로 진출했다. 서부교육청은 국장 1명, 과장 6명중 4명, 장학사 이상 7명, 직원 2명 등 모두 14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하기관 기관장 4명, 현직 행정실장 8명 등 모두 94명의 시교육청 직원들이 학운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조는 이와 함께 전직 사무관 이상 간부로 재직했던 퇴직 직원이나 장학사 이상 퇴직 공무원 21명, 일선 학교 각종 기자재 납품업체 대표 5명 등도 학운위원에 진출했다고 덧붙였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운영위원 3300여명 가운데 교육청 간부직원 참여비율은 3%에 불과, 교육감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