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명칭에 동·서·남·북·중 등 다 고쳐야 합니다”
“현재 공공기관의 명칭에는 애정이 담겨있지 않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한 공무원이 행정구역은 물론, 공공기관의 이름에서 일제의 잔재를 뿌리뽑겠다며 팔을 걷어붙였다.
주인공은 전북 익산보훈지청 관리과의 오창수(53) 자력계장. 최근 행정자치부에 이런 내용을 담은 ‘행정구역·관공서·학교 이름 등 정립을 위한 제안서’를 냈다.
오씨에 따르면 아직도 공공기관 명칭에 지역의 특성 및 역사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사례가 많다는 것.
예컨대 전국 어디에서나 동·서·남·북·중앙 처럼 단순히 방위만을 알 수 있는 명칭이 버젓이 쓰이고 있다. 즉 ‘○○동중학교’,‘△△중부경찰서’ 등 천편일률적인 명칭이 우리 사회에서 가장 흔하게 자리잡고 있는 기관 명칭이라는 것이다.
또 신(新)·구(舊) 등 오래된 정도만을 나타내는 어휘도 자주 등장한다고 안타까워했다. 오씨는 “행자부가 일제 잔재인 행정구역 명칭을 정비하고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면서 “지역의 특성을 무시한 공공기관 명칭은 해당 주민들의 애정을 불러올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민족정기의 시작은 올바른 이름 짓기”라면서 “내가 다닌 학교, 내가 사는 동네의 관공서 이름에도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때문에 지역 특성이나 역사성에 대한 고려없이 붙여진 이름은 일정기간 안에 고칠 수 있도록 ‘일몰제’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오씨는 “구성원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이름을 새롭게 짓는다면 일제잔재 청산은 물론, 애향·애교심을 되살리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씨는 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생가 터로 알려져 있는 서울 중구 초동 명보극장 일대를 이른바 ‘나라 사랑 교육장’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그는 “생가터에는 서울시가 설치한 표지석만 덩그러니 남아있고, 관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인근 지하철 역에서 신문가판대를 운영하고 있는 70대 할머니께서 돌보는 게 고작”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충남 아산에 현충사가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접근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을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씨는 “자료를 모으고 제안서를 제출하면 직장 동료들은 왜 사서 고생을 하냐고 묻기도 한다.”면서 “공무원이 주어진 일만 잘 한다고 해서 공무원으로서의 역할을 다했다고 할 수 있냐.”고 반문하며 미소지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6-6-5 0:0: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