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충위는 부산에 사는 이모씨가 지난해 5월 말 수술 후 사망한 선친의 사인을 가리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부검을 의뢰했지만 1년이 지난 지금까지 통보를 받지 못했다는 내용의 민원을 지난달 30일 접수했다고 15일 밝혔다.
이씨는 “아버지가 부산 B병원에서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뒤 20일도 안 돼 갑자기 돌아가셨다.”면서 “고인이 되신 아버지를 이제 그만 편안한 세상으로 보내드릴 수 있도록 국과수의 부검 결과를 하루 빨리 받을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이에 따라 고충위는 최근 국과수를 지휘 감독하는 경찰청에 조속한 처리를 요청하며 이씨의 민원을 넘겼다.
그러나 국과수측은 인력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과수 부검의사의 정원은 서울 본소와 4개 분소를 합쳐 모두 26명. 그러나 현재 인원은 서울 본소 11명, 동부 분소(강원 원주) 2명, 서부(전남 장성) 2명, 중부(대전 유성) 1명 등 16명뿐이다. 이 중에서도 직접 부검을 하지 않는 인원을 제외하면 부검의는 10명에 불과하다. 이씨 선친의 부검결과 통보도 인력이 부족해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과수 관계자는 “주관 부서인 행정자치부가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대안이 없는 상태”라면서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이 있어야 민원해결은 물론 수사의 질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