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홍보원은 월드컵 기간 동안 유럽지역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거나, 울릉도 및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한 사이트와 ‘한·일 월드컵’을 ‘일·한 월드컵’으로 표기한 사이트 등의 우리나라 관련 오류 32건을 수정했다고 27일 밝혔다.
하지만 해외 인터넷·백과사전·지도 등에 나타난 오류를 수정하는 작업이 그리 녹록지만은 않았다.
일반적으로 정부가 제시하는 통계 등 각종 정보는 의심없이 받아들여지지만, 잘못 소개된 한국 관련 정보만은 예외였다. 해외홍보원 관계자는 “오류 수정을 정부 차원에서 요청하면 국가간 갈등이나 대립 문제로 간주해 수정에 부정적인 경우가 많았다.”면서 “오히려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이뤄지는 수정 요청에 더 협조적”이라고 털어놨다.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www.prkorea.com) 관계자도 “정부가 나서서 해결하기 어려운 분야가 해외 오류정보 수정”이라면서 “수정 요청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려면 민간 활동이 강화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오류 수정 문제를 ‘얼마나 많이 고쳤느냐.’는 양적 접근에서 탈피,‘오류가 확대 재생산되는 구조를 어떻게 차단할 수 있느냐.’는 질적 접근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반크 관계자는 “전세계적으로 콘텐츠를 공급하는 야후와 월드뱅크 같은 300여곳의 거점 사이트를 중심으로 수정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정부는 오류 실태에 대한 백서를 만들고, 대국민 홍보를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외홍보원 관계자는 “앞으로는 정부가 직접 오류를 수정하기보다는 잘못을 바로잡는 데 적극적인 민간단체를 네트워크화하는 지원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6-6-28 0:0: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