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원 한국교원대 황새복원연구센터는 10일 국제 멸종위기종인 천연기념물 제199호 황새의 짝짓기와 부화 등 새끼 출산장면을 공개했다.
지난 1991년 독일 조류공원에서 기증받은 ‘자연’과 99년 일본에서 알을 들여와 인큐베이터 등으로 번식한 ‘청출’이 대상이다. 황새는 서울대공원에 6마리가 있지만 인공번식을 할 수 있는 곳은 이 센터뿐이다.
수컷 자연과 암컷 청출은 2월 초부터 짝짓기에 들어갔다.2주간 하루 2∼8차례 교미했다.1회당 10∼20초 걸린다. 황새는 ‘1부1처제’다.
암컷은 교미 2주후 4∼5개의 알을 낳았다.30일간 알을 품으면 새끼가 태어난다.2개월간 크면 날 수 있어 둥지를 떠난다. 이 두 달 사이에 황새는 몸무게가 100g에서 5㎏쯤으로 크게 늘면서 ‘어른 새’가 된다.
센터가 황새 출산에 열을 올리는 것은 자연적응력을 높이고 개체수를 늘리기 위해서다.
2012년 국내 최초로 청원군 미원면 24개 마을에 조성하는 ‘황새마을’에 방사할 황새들이다. 센터 관계자는 “자연상태에서와 같은 시기와 과정을 통해 인공번식을 하고 있다.”면서 “3쌍 중 이들만 수정란을 낳았다.”고 말했다. 센터는 2002년 4월 이 커플 황새를 통해 세계에서 네번째 인공부화와 이듬해 자연번식에 각각 성공했다.
한국에서 가장 큰 텃새인 황새는 1971년 충북 음성에서 한쌍이 발견된 뒤 완전 사라졌고, 교원대는 1996년 이 센터를 설립해 복원사업을 벌이면서 매년 1∼2마리의 새끼를 출산, 현재 36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청원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