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법무사 1차 시험은 민사집행법이 새로 편입되면서 합격선이 1998년 이후 가장 낮은 77.5점에 그쳤다. 사진은 지난 2004년 10월 법무사 2차 시험을 마치고 시험장을 나서는 수험생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
법원행정처는 지난달 2일 치러진 제12회 법무사 1차 시험의 합격자 명단을 지난 11일 공고하고, 오는 10월14일부터 이틀동안 서울 동국대에서 2차 시험을 치른다고 밝혔다.
올해 커트라인은 77.5점으로 지난해 83점보다 크게 하락했다.73.5점에 그쳤던 1998년 이후 최저 점수이다.8년만에 처음으로 70점대로 다시 떨어진 것이기도 하다. 합격자 평균도 지난해 86.1점에서 81.5점으로 4.6점이나 하락했다.
합격선 하락은 올해부터 시험 과목에 형법이 빠지고 민사집행법이 새로 포함된 데 상당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민사집행법과 비송사건절차법이 합쳐진 1차 시험 제3과목의 합격자 평균은 73.5점으로 지난해 제3과목 평균보다 12점, 올해 전체 평균보다 8점이나 떨어졌다. 부동산등기법·공탁법 등 제4과목도 지난해 84.7점에서 78.7점으로 6점 떨어지면서 합격선 하락을 부추겼다.
법원행정처 관계자는 “수험생들이 민사집행법에 제대로 적응을 하지 못한 것이 전반적인 점수 하락을 불러왔다.”면서 “하지만 사법시험이나 행정고시 준비생의 법무사 시험 응시 비중이 높아지면서 전체적인 수험생의 질은 나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연령별로는 40세 이하가 감소한 반면 40세 이상은 증가했다.41∼50세는 지난해 28.2%인 103명에서 올해는 30.3%인 113명으로,51∼60세도 1.9%인 17명에서 7.8%인 29명으로 늘었다. 그러나 31∼40세는 지난해보다 35명이나 줄어든 163명이 합격했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상 대졸 미만의 비율이 지난해 4.4%인 16명에서 18.5%인 69명으로 크게 늘었다. 이같은 고연령 저학력 추세는 법원 공직자 등 법무사 관련 경력자들이 대거 시험에 응시하면서 빚어진 현상으로 관계자들은 분석하고 있다.
한편 2차 시험 응시자는 1차 합격자 373명과 면제자를 포함해 모두 700명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선발 인원이 120명인 만큼 5.83대1의 경쟁률이다. 지난해 5.95대1에 못지 않은 수치다.
2차 시험 과목은 민법과 형법, 형사·민사소송법 등 7과목. 민법이 100점으로 가장 배점이 높다. 따라서 민법의 기초가 탄탄해야 한다.3차는 내년 2월1일 전문능력과 응용능력을 평가하는 구술시험으로 치러진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06-8-17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