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노는 “연행이나 구속도 불사하겠다.”며 ‘타협 없는 강력저항’을 천명했지만, 일부 지역의 전공노 소속 노조는 합법 노조 전환 여부를 놓고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31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까지 노조 사무실을 폐쇄한 전공노 소속 지방자치단체는 전국 161곳 가운데 서울 서초구와 경기 본청, 경남 본청, 제주 서귀포시, 경북 울주군 등 6곳이다. 경남 본청은 강제 폐쇄됐고, 나머지는 노조가 자진 철수했다.
충남·강원지역 지자체들은 이르면 다음주 중 전공노 사무실을 폐쇄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지자체들은 물리적 충돌을 우려해 대부분 사태 추이를 지켜보자는 쪽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노조가 합법 노조 전환을 놓고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 상황에서 원만한 문제 해결을 위해 당장 사무실을 폐쇄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경북지역 지자체들도 대부분 노조 사무실 폐쇄를 위한 뚜렷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광주·전남지역 지자체들도 노조측에 사무실을 자진 철거하도록 공문을 보냈을 뿐, 추가 조치는 취하지 않고 있다. 경기나 울산도 대화로 설득한다는 전략을 세워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지역 전공노의 합법화 움직임이 전체 노조 차원에서 공식적인 논의로 이어질지도 주목받고 있다.
일부에서는 2일 예정된 전공노 전국 대의원대회나 9일 창원에서 열리는 전국공무원노동자대회에서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있다.
하지만 전공노 관계자는 “합법화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하면 논의할 수는 있겠지만, 현재까지 공식적인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행자부는 오는 4일 전국 시·도 부단체장 회의를 소집해 각 지자체에 정부 방침을 따를 것을 독려한다는 계획이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