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일부 구간이 앞으로 모습을 드러내지 않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남대 해양연구소가 진도군의 의뢰로 실시한 ‘진도의 바닷길 보호 학술조사 용역’ 중간보고서에서 1일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의신면 모도∼고군면 회동리 1.8㎞ 바닷길(폭 80m) 중 훼손이 심각한 곳은 300m에 달했다. 회동리 바닷길 입구에서 400∼1000m 구간에는 ‘톱니 모양’의 움푹 파인 지점이 많이 관측됐으며, 평균 해발(80∼100cm)에 비해 30∼85cm 낮아졌다. 이는 바닷길을 따라 형성된 모래·자갈 언덕이 점차 사라져감을 나타내며 이들 지점은 바닷길이 열릴 때도 겉으로 드러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일부 구간의 해발이 낮아진 것은 최근 회동리에 건설된 호안과 물양장 등 인공시설물이 바닷길에 쌓여야 할 퇴적물을 막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매년 축제때 100만명이 넘는 관광객이 바닷길에서 낙지·소라·바지락 등을 잡기 위해 모래언덕을 파헤치는 것도 훼손의 원인으로 지적됐다.
이번 조사결과 ‘바닷길’의 길이와 폭은 1.8km와 80여m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금까지는 길이 2.8km에 폭 40∼60m로 알려져 왔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