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육기관공무원노조연맹(교육연맹)과 전국교육기관기능직공무원노동조합(기공노)에 이어 세번째다. 행정부공무원노동조합(행공노)과 한국공무원노동조합(한공노) 등도 곧 뒤따를 전망이다.
공노총은 교섭과제로 ▲필수공익사업장 수준의 단체행동권 및 대국회 교섭권 보장 ▲경찰·소방 공무원의 공무원직장협의회 가입 허용 ▲공무원 정년 60세로 단일화 ▲직급별 호봉상한제 폐지 ▲총액인건비제 및 성과계약제 실시 보류 ▲근속승진 6급까지 확대 등 모두 185건을 제시했다.
또 비교섭과제로는 ▲고시제 폐지 ▲KBS 시청료 폐지 ▲유류세 및 근로소득세 인하 ▲휴대전화 사용료 대폭 인하 ▲국정감사를 국정조사로 대체 ▲기초자치단체 선거에서 정당공천제 폐지 ▲중국에 간도 땅 반환요구 등 33건을 내놓았다.
행자부 관계자는 “오는 17일까지 추가로 교섭신청을 받은 뒤 18일 교섭참여 노조를 확정·공고할 계획”이라면서 “사실상 첫 교섭인 예비교섭은 노조들이 단일 협상단을 구성하는 이달 말이나 새달 초쯤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