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죽음’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빠름과 가벼움의 시대에서는 ‘일상 너머의 언어’인 시(詩)를 마음에 품는 이를 찾기 어렵다.
청소년위원회 정책홍보팀 윤보영(45) 사무관은 인터넷을 무기로 잊고 지내던 그리움과 희망을 노래한다.
|
윤보영 청소년위원회 정책홍보팀 사무관 |
윤 사무관은 1998년 겨울, 계간지 ‘지구문학’에서 동시 부문 신인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 시를 쓰기 시작한 것은 그해 봄.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산골 송사리의 하소연’을 우연히 읽은 동료가 본격적으로 써보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권유했다.1984년 공직에 들어선 뒤 접어두고 있었던 ‘문청(文靑)’의 꿈이었다. 이후 ‘그대가 있어 더 좋은 하루’ 등 모두 11권의 시집을 펴냈다. 작품 소재는 철저히 ‘지상의 것들’이다. 빌딩과 하늘, 그리고 커피 등 일상을 통해 일상 너머에 자리잡고 있는 사랑에 대한 그리움을 담는다. 시를 쓰는 ‘서재’는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성수동 집을 오가는 지하철 안,‘원고지’는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 입력창이다. 그러다 보니 시어가 여간해서 40자를 넘지 않는다.
윤 사무관은 온라인에서 훨씬 유명한 시인이다. 그의 시 카페 ‘바람편에 보낸 안부’(cafe.daum.net/YUNBOYOUNG)의 회원은 초등학생부터 60대까지 3만 1000여명. 수많은 인터넷 카페와 블로그에 그의 시가 인용돼 있을 정도다.
●많이 읽혀 좋은 시 쓸 것
인터넷에서 주로 활동하는 까닭에 그의 ‘정체’는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다. 감수성 넘치는 문체 때문에 여성으로 오해하는 사람도 많았다. 그는 “독자들이 내가 남자인 것에 놀라고, 또 직업이 공무원인 것에 두번째로 놀란다.”며 미소지었다. 흐뭇한 일도 많았다. 한 40대 여성은 초등학교 6학년 딸아이가 윤 사무관의 시집을 보고 ‘내가 결혼할 때 선물로 해달라.’고 하더라는 사연을 인터넷 카페에 남기기도 했다.
독자들을 위한 전국 규모의 행사도 2년 전부터 갖고 있다. 올해는 새달 28일 그의 고향인 경북 문경의 성보예술촌에서 예정되어 있다.
윤 사무관은 청소년들을 위한 시를 쓰고 싶다고 했다. 이들의 온라인 용어도 시어로 활용할 참이다. 그는 “좁아지는 한국 시의 영역을 넓히려면 다양한 문학적 시도가 나와야 한다.”면서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시를 계속 쓸 것”이라고 말했다.
글 사진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06-09-18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