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된 지자체는 ‘몰아주기’ 방식으로 연간 1조원이 넘는 중앙정부 지원사업 예산을 우선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때문에 각 지자체는 다음달 초 이뤄질 시범지역 선정에 앞서 전담 인력 및 조직 확보에 나서고 있다.
25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울산·대구·인천·경기·강원·충남·전북·경남 등 8개 시·도는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사업에 전담인력을 배치하기 위해 행자부에 증원 승인을 요청했거나 할 계획이다. 서울을 비롯한 나머지 8개 시·도는 현재의 정원에서 인력을 재배치해 전담인력을 두기로 했다.
전남은 16개 시·도 가운데 가장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선 전남도는 농·산·어촌 지역의 빈집 정비계획 등을 수립하기 위해 이달부터 ‘행복마을과’를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또 고흥군이 ‘행복마을계’를 설치하는 등 전남도 기초단체 22곳 가운데 16곳에서 이미 전담부서 신설 작업에 나섰다.
충남도는 기존 기획관리실의 조직과 인력을 재조정해 가칭 ‘균형발전담당관실’을 신설하기 위한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충남도 기초단체들의 움직임도 덩달아 부산해지고 있다. 공주시는 사업 유치를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고, 서산시는 지역자원실태조사를 통한 유형별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프로젝트팀을 출범시켰다. 금산군은 사업 추진과정에서 중앙정부와 유기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협력단을 결성했고, 당진군은 시범사업 유치를 위한 세부적인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와 함께 경북도는 ‘균형발전계’, 경기 파주시는 ‘균형발전과’ 등 전담부서를 신설했다.
문영훈 행자부 살기좋은기획팀장은 “낙후지역이 많은 지자체를 중심으로 사업 참여 의지가 높은 것 같다.”면서 “사업을 담당할 전담 조직 및 인력을 확보하고 있는 지자체에는 시범지역 선정과정에서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