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내에 고속도로가 놓이고 철도가 복선으로 완공되면 서울에서 40분대에 놓이면서 문화·관광 중심의 배후도시로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는 판단이다. 우선 ‘물의 도시’ 면모를 새롭게 하기 위해 약사천을 복원하고 공지천과 의암호 등의 수변지역을 자연친화형으로 가꿔 나갈 계획이다.
이곳에는 각종 문화·관광인프라를 세우고 4계절 스포츠와 레저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의암호변에는 그린청소년 수련장과 수상공연장, 순환도로, 물위를 걷는 다리 등 친환경 호수관광·문화벨트로 꾸밀 참이다. 이를 위해 공지천 수질을 개선하고 도심을 흐르는 약사천, 석사천변을 생태탐방로와 생태연못, 야생화단지로 장식된 녹색공원으로 조성한다.
무엇보다 복개돼 풍물시장 등으로 활용하고 있는 약사천을 새롭게 복원해 도심속 명물로 만들 계획이다.
소양강물을 끌어들여 약사명동의 시내 중심지를 흐르게 하고 물길마다 곳곳에 특색 있는 명소를 만들어 유럽풍 선진 관광도시로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현재의 풍물시장은 경춘선 복선전철이 지나는 도심내 교각 아래로 이전시키는 것을 신중히 검토 중이다.
이 시장은 “수백억원이 소요되는 대규모 토목공사인 만큼 구체적인 밑그림을 그려 충분히 검증을 받은 뒤 내년 예산부터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산업기반이 취약한 춘천에 지식기반형 기업도시를 만들어 일자리를 늘리는 데도 주력할 작정이다. 기업도시는 수도권과 30∼40분 거리에 있는 남부지역에 100만평 규모로 조성해 첨단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교육도시의 면모도 새롭게 갖출 예정이다. 외국어고 유치와 외국과 동일한 체험형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일본타운, 미국타운, 중국타운 등 국제문화타운도 만들 방침이다.
이 시장은 “춘천권 도심을 새롭게 변화시킬 또 다른 대형 프로젝트 G-5 계획도 강원도와 협의해 추진해 나갈 것”이라면서 “임기내 아름다운 춘천, 희망이 강물처럼 흐르는 춘천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춘천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2006-9-27 0:0:0 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