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고 마음 주고 사랑도 주고…(사랑의 이름표·현철)’에 따라 익숙한 몸놀림을 이어갔다. 시범조교에 따라 팔·다리운동 등 40여개 동작으로 마무리한 뒤 물속으로 풍덩 들어갔다.
●수중체조는 `군정 0순위´
고흥군의 65세 이상 인구는 30%를 넘어섰다. 이 때문에 노인들의 만성퇴행성 질환 예방과 치료는 어떤 현안사업보다 앞섰다.
군에서는 노후의 삶이 관절염이나 신경통 등 고질병 통증을 얼마나 줄이느냐에 달렸다고 봤다.
그래서 고안해 낸 게 수중체조이다. 한번에 60명이 함께 모여 웃고 떠드는 유산소 운동을 하면 어느새 기분이 좋아진다고 이구동성이다.
이 프로그램 인기는 폭발적이다.
대기자들의 아우성에 밀려 지난달 부터 2개반에서 3개반(180명)으로 늘렸다. 내년에는 4개반으로 늘린다. 주마다 2번씩 6주 일정으로 일년이면 6기생을 배출한다.
올들어 이미 360명이 참여했다. 여기에 류머티즘협회의 조언을 받아 태국의 전통무술인 ‘타이치 운동’을 곁들여 통증을 크게 줄였다.
●독한 약 덜 먹는 것도 큰 수확
참가자들은 수중체조를 한 뒤 관절염과 신경통 통증이 크게 줄었다고 답변했다(표1). 게다가 독하다는 관절염약을 덜 먹게 되고 낮에 운동을 하면서 밤에 잠이 잘 와서 너무나 좋다고 했다.
덤으로 계단 오르기가 전보다 쉬워졌고 우울증이나 슬픔 등 감정변화도 크게 줄었다고 말한다. 송정희(69·고흥읍 남계리)씨는 “몇년 동안 수영과 체조를 했더니 관절염과 신경통이 거의 사라졌고 하루라도 수영장에 안 가면 몸살이 날 지경”이라고 자랑했다. 몇몇 할머니들은 “나이가 들수록 걷거나 팔다리를 움직이는 운동을 해야 관절염이나 신경통이 없어진다.”고 거들었다.
군 보건소는 체조에 앞서 꼭 관절염 이론교실을 연다. 식생활과 운동을 잘 조절하면 얼마든지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다고 강조한다.
●3년간 연인원 1만 2000여명 이용
2003년에 문을 연 수중체조 교실에서는 보건소에서 전담직원 2명과 수영강사, 류머티즘협회 회원, 자원봉사자들이 땀을 쏟는다.
수중 체조교실을 다녀간 사람은 연인원으로 따져 2003년 2484명(예산 8900만원),2004년 3984명(1억 4500만원),2005년 5760명(1억 2100만원)이다.
이 프로그램은 다른 자치단체의 벤치마킹 표적이다.‘관절염에는 수중운동이 최고’라는 군보건소 노인건강증진 담당 윤경희(42)씨는 “수중체조로 어르신들의 관절염 통증이 줄고 있어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수중체조의 열기는 군민복지회관 장수 체조교실로 발전했다.
읍내에서는 매주에 20명씩 2개반으로 나눠 가르치고 있다. 또 관내 16개 읍·면 62개 경로당을 찾아가 이동 체조교실을 연다. 지금껏 293회에 걸쳐 4986명이 참여했다.
이밖에 올들어 요가교실에 연인원 1352명, 스포츠댄스(포크댄스) 교실에 1679명이 참여했다.
박병종 군수는 “수영장 접근성을 높여 어르신들이 빠지지 않고 참여해 여생을 즐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고흥 남기창기자 kcna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