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태안군 근흥면 옹도 등대는 1907년에 세워졌다. 내년초 100년을 맞는 옹도 등대는 어선 등 하루 200여척의 항해 길잡이로 제몫을 다하고 있다. 한국의 첫 등대는 1903년 세워진 인천 팔미도의 것이다.
●자살충동이 생기기도
박 소장은 “충남 최서단에 있는 격렬비열도와 같은 절해의 고도에서 근무하다 보면 바다로 뛰어들고 싶은 충동이 일기도 한다.”고 전했다.“예전에는 이를 못 견뎌 중간에 많이 그만뒀어.”
요즘에는 취업이 어려워 이직률이 크게 줄었단다. 등대원 시험경쟁률도 수십대1에 이를 정도로 세졌다.
박 소장은 “인터넷으로 세상과 소통한다.”고 말한다. 잠 자기 전에 명상을 통해 자신을 극복하기도 한다.
등대지기 김봉수(34·기능9급)씨도 인터넷과 소설을 보면서 외로움을 이기고 있다. 그는 “아이들이 보고 싶을 때 가장 힘들다.”고 털어놓는다.
‘가족을 그리워하고 잡념이 많다 보면 절벽에서 떨어지는 등 안전사고가 난다.’는 선배의 충고도 어쩔 수 없는 모양이다.
옹도 등대지기는 3명이 한 조다. 한 달에 한 명씩 돌아가면서 10일씩 쉰다. 지난주는 유종철(32·기능직 7급)씨가 비번이었다.
옹도는 충남의 유일한 유인등대다. 격렬비열도와 안도도 유인등대였으나 1994년과 98년 각각 무인화됐다. 우리나라에는 41개 유인등대와 840개 무인등대가 설치돼 있다.
●빗물 받아 세수…강아지도 친구
유인등대지만 주민은 한 명도 없다.
박 소장은 “말을 나눌 주민이 없어 스트레스가 더하다.”고 말했다. 대신 강아지 2마리가 친구다.‘막내’와 ‘곰순이’. 전에 근무하던 등대지기가 한 쌍을 갖다 기르다 낳은 새끼들이다. 모두 암컷으로 엄마, 아빠는 뭍에 보냈다.
김씨는 “강아지가 커 새끼를 낳으면 밥 주는 것도 힘들고 이별을 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등대지기의 하루는 아침 6시부터 시작된다. 불을 밝히는 등롱을 하루도 빠짐없이 닦고 축전지의 충전 여부를 점검한다. 옹도 등대는 석유를 최초로 사용했던 곳이지만 요즘은 태양전지를 쓴다. 낮에 전기를 모았다 밤에 등롱을 켜고 냉장고 등 생활전기용품을 돌린다. 먹을 물은 물통을 가져가 먹고 세수나 빨래·목욕은 빗물을 모았다가 쓰고 있다. 일제시대 만든 우물에 빗물을 받는다. 쌀 등 부식은 각자 구입해 가지고 간다. 항로표지선인 115t급 ‘등대호’가 이들을 실어나른다. 등대지기에게는 안개가 가장 골칫거리다. 연중 100일 이상 낀다. 이런 이유로 옹도만 등대지기를 남겼다.‘무(霧)신호’는 사람이 직접 켜고 꺼야 한다. 뱃고동처럼 울리는 무신호 소리는 16㎞까지 퍼져나간다.
강풍이 불 때도 힘이 든다. 초속 27m까지 바람이 불면 걷기 어려울 정도다. 수면에서 80m 높이에 있는 등대까지 물거품이 날아온다. 폭설이 쏟아져도 바람에 다 날아가 쌓이지 않는다. 김씨는 “이런 일은 등대지기를 하면서 처음 겪은 일들”이라고 말했다.
●무사고때 보람 느껴
김씨는 “등대에 오래 머물다 보면 군인들처럼 통닭과 자장면이 가장 먹고 싶다.”고 귀띔했다. 그러면서 “하늘과 바다를 붉게 물들이는 일몰과 몇년 전부터 서해 밤을 밝히고 있는 오징어배의 불빛들이 장관”이라고 자랑한다. 바닷길을 안내하는 것이 업무이지만 몇년 전 대천에서 경기도로 가던 배가 기름이 떨어져 표류하다가 기름을 얻어 가고, 파도가 높게 일면 어민과 낚시꾼들이 피해 있다가 가는 등 해난사고 구조에도 일조하고 있다.
어민들이 섬에 들러 자신들이 잡은 물고기로 회를 썰어주며 고마움을 표시하기도 한다.
박 소장은 “친구, 명절, 애경사를 챙기지 못하는 게 가장 안타깝다.”면서 “육지와의 교통, 시설의 첨단화 등이 절실하지만 배들이 사고 없이 항해할 때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태안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06-10-24 0:0:0 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