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써 무기 통합구매라는 막강한 권한을 갖고 있는 방사청은 출범 1년도 안 돼 청장과 차장이 모두 갈리는 진통을 겪게 됐다.
초대 김정일 청장은 지난 7월 골프접대와 금품수수 등으로 물의를 일으키며 사퇴했었다.
이 차장이 밝힌 사직 이유는, 방사청 근무 현역 장교들의 인사와 관련, 법적 인사권자인 각군 총장과 마찰을 겪은 데 대해 책임을 지겠다는 것이다. 방사청은 올해 소령→중령 진급인사에서 방사청 소속 장교 18명을 진급시켜 달라고 요청했지만 군에서는 수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차장은 이와 함께 올 1월 출범한 방사청의 토대구축이 어느 정도 끝나 자신의 역할도 끝났다는 점을 사직이유로 들었다.
하지만 인사의 경우 이 차장의 노력 끝에 방사청 소속 13명이 대령으로 진급하는 등 갈등이 줄어드는 양상이었다. 또 지금은 차세대 전력증강의 핵심인 조기경보기 사업자 선정 등 굵직한 현안이 산적한 상황인데, 자신의 일이 끝났다는 논리도 납득하기 힘든 부분이다.
‘민주화를 위한 변호사 모임’ 소속의 이 차장은 노무현 대통령의 각별한 신임 속에 무기 구매 사업의 투명화를 위한 방사청 출범을 사실상 주도해 왔다.
그래서 이 차장이 돌연 사의를 밝힌 데는 다른 의도가 있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정부 소식통은 “이 차장이 한때 청와대 민정수석을 희망했다는 얘기가 있었다.”면서 “돌연한 사의는 다른 자리로의 영전을 희망하는 제스처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
2006-10-27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