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는 1997년 ‘야생유전자원’을 이용해 참다래(골드키위)신품종 개발에 나선 이래 토종 참다래 재배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골드키위의 이름은 연구소의 옛 명칭인 제주농업시험장의 약자 ‘제시’와 ‘골드키위’를 합성한 ‘제시골드’로 결정했다. 제시골드는 세계적인 키위 유통 다국적 기업인 뉴질랜드 제스프리사가 제주 농가에 보급한 골드키위와 당도 및 생산량 등에서 손색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골드의 평균당도는 14.5∼16.4브릭스, 생산량(수확 2년차 기준)은 10a당 3000㎏에서 성목시 4000㎏ 이상에 이른다.
가격도 ㎏당 2600원선보다 30∼40% 높아 외국산 골드키위와 비슷하게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시골드는 과육이 연하고 향이 높으며 씹는 맛이 있는데다 크기도 외국산 골드키위보다 커 경쟁력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연구소는 15일 제주시 한경면 조수리 김영찬씨 농장에서 제시골드 현장평가회를 갖는다. 난지농업연구소 김성철 박사는 “제시골드는 외국산 키위 재배에 따른 로열티 부담이 없어 희망하는 농가는 누구나 재배가 가능하다.”면서 “앞으로 농가로부터 묘목분양 및 재배신청을 받아 국내 시장공략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2006-11-14 0:0: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