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공공·민간 건물 53.4%, 에너지 사용량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용마루길… 샤로수길… 서울 6개 상권 축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동대문, 서울 동북권 첫 자율주행버스 운행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강동 “18일 암사동에 매머드·시조새·코뿔소 나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행시 2차 일반행정 합격선 급락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올해 행정고시 2차 시험의 일반행정 직렬 합격선이 지난해보다 10점 가까이 수직 하락했다. 다른 직렬도 대부분 3∼4점씩 낮아졌다. 기본 개념을 응용한 문제가 많았고, 지난해 워낙 낮았던 난이도가 예년 수준을 회복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기술직은 전기직렬 6.95점 떨어져 눈길


중앙인사위원회는 지난 6월 치러진 행시 2차 시험 분석 결과를 15일 공개했다.

합격자 명단은 16일 오후 사이버국가고시센터(gosi.csc.go.kr)에서 발표한다.

2차 시험 합격자는 행정·공안직 286명과 기술직 90명 등 모두 376명. 최종 선발예정인원인 306명의 1.23배가 뽑혔다. 최종 면접시험에서 70명이 탈락하게 된다.

행정·공안직에서는 60.07점의 교육행정직, 기술직에서는 85.04점의 전산직이 최고점을 기록했다.

커트라인은 행정·공안직 전국모집의 일반행정 직렬이 지난해 64.22점에서 9.26점 깎인 54.96점이었다.

재경직은 56.88점에서 53.25점, 국제통상직은 61.48점에서 56.96점으로 떨어졌다. 기술직에서는 전기 직렬이 79.61점에서 72.66점으로 하락폭이 가장 컸다.

일차적인 원인은 행정법과 경제학 등 중요 과목에서 사법시험과 마찬가지로 기본 개념을 응용한 문제가 많이 출제되면서 난이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베리타스·한국법학교육원 김범전 원장은 “기존 단순 암기식 공부법에 익숙한 수험생들이 개념을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문제를 푸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여성 합격자 38.3%… 강세 지속

지난해 문제가 워낙 쉬웠던 것도 한몫을 했다. 일반행정 직렬의 커트라인이 2003년 55.83점,2004년 55.82점이었던 만큼 예전 수준으로 복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합격 연령의 하향 현상도 두드러졌다. 합격자 평균 연령은 26.4세로 지난해 27.4세보다 1세가 낮아졌다.

가장 많은 연령대는 24∼27세가 전체의 60.1%인 226명을 차지했다. 지난해는 47.2%인 167명이었던 만큼 13%포인트 가까이 늘었다.

반면 28∼31세는 27.1%에서 23.4%,32∼36세는 14.4%에서 5.3% 등으로 급감했다.‘어려운 시험일수록 나이 많은 수험생이 강하다.’는 통념도 깨진 셈이다.

여성이 강세를 보이는 추세는 올해도 이어졌다. 전체 합격자 가운데 여성은 38.3%로 지난해보다 1.6%포인트 늘었다.

직군별로는 행정·공안직의 43.4%, 기술직의 22.2%가 여성이다. 특히 일반 행정직은 108명의 합격자 가운데 여성이 58.3%인 63명이나 차지했다.

합격자의 출신 대학은 전국 모집은 84.6%, 지역 모집은 79.0%가 서울 소재 대학으로 나타났다.

면접은 12월6일부터 나흘 동안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 실시하고,12월22일 최종 합격자를 발표한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06-11-16 0:0: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강서 “동의보감의 지혜로 건강 챙겨요”

18~19일 ‘허준축제’ 규모 확대 달리기 등 80개 프로그램 꾸며

정조대왕 발자취 따르며 하나 된 금천[현장 행정]

첫 포문 연 ‘금천시흥행궁문화제’

노원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사업’…돌봄 선도 도

다층적 돌봄 체계로 ‘촘촘한 지역 돌봄망’ 실현 반복되는 단절·공백에 ‘지역 기반 통합돌봄’으로 대응

“골목길 공해 없게”… 스마트 성북 첫발[현장 행정

이승로 구청장, 재활용품 수거 협약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