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폭적인 행정지원
광진구는 우선 지역기업체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작업부터 시작했다. 총 2만 3923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제조업(2207개), 사업서비스업(908개), 건설업(673개) 등으로 분류해 체계적인 관리의 틀을 만들었다. 기업 정보는 구 홈페이지에 연계되도록 했다.
지난 8일에는 ‘1기업 1직원’의 행정서비스 자매결연식을 가졌다.50개 희망업체와 6급 직원 50명이 서로 ‘의형제’를 맺도록 했다. 기업에서 행정 민원이 발생하면 도우미 직원이 즉시 책임을 지고 해결하도록 했다. 앞으로 전 직원이 참여하도록 독려할 방침이다.
‘자치구는 작은 정부’라는 소신을 갖고 있는 정 구청장은 수시로 기업인들과 간담회를 가졌고, 직접 현장을 방문해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행정지원에 이어 기업들이 만든 제품에 대한 구매 등을 통해 간접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 다음으로 창업, 구직자, 재래시장 등에 대해 원거리 지원작전을 구사했다.
●제품관리도 자치구가 책임
기업이 제품을 잘 생산하도록 독려해도 그 제품이 소비자로부터 외면을 받으면 ‘헛일’이기 때문에 제품관리도 병행했다. 지난 1일부터 광진구에서 생산되는 가공식품의 위생관리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 식품판매업소 356곳에 대한 일제점검을 통해 유통기한 경과제품, 부패·변질 제품, 무신고 제품 등을 파악해 문제가 있는 33곳을 시정조치했다.
식품업소에는 제품에 대한 간이검사 키트, 일일자율점검표, 정기검사 확인서 등을 비치하도록 했다. 직원들에게는 지역별 책임을 맡아 수시 점검을 하도록 했다. 아울러 제품검사 의뢰(보건환경연구원 등)→구청 결과통보→업체 통보→제품 반품·폐기 등이 일괄적으로 이뤄지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자치구는 작은 정부
광진구는 자치구 창업지원센터에 대한 서울시 평가에서 우수구로 선정됐다.2003년부터 3년 동안 입주한 21개 벤처기업이 기술개발 26개 품목, 특허출원 11건, 실용신안등록 12건 등의 성과를 냈기 때문이다. 구 예산도 5400만원 지원했다.
지난달 9일 구직자와 구인업체의 만남을 알선하는 ‘광진 JOB페어’도 열었다. 취업난을 덜면서 기업에 우수한 인력을 제때 공급하기 위해서다. 이날 2000여명이 몰려 일자리 600여개를 구했다. 광진구는 내년 1월1일자로 조직개편을 단행한다. 부구청장 직속으로 ‘비전21추진단’을 신설해 지역경제활성화팀을 아예 정규 조직화한 셈이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6-12-21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