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등으로 구성된 ‘국립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비상대책위’는 24일 “문화부의 종합계획안이 도심활성화보다는 전문적인 문화공간 구성 위주로 된 졸속안”이라고 주장하며 전면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상대책위에 따르면 문화부는 최근 아시아문화전당 건립·운영을 비롯한 7대 문화지구 조성, 문화도시기반 구축, 문화관광산업 및 기초문화예술 진흥, 문화허브도시로서의 역량·위상 강화 등을 내용으로 하는 종합계획안을 발표했다.
비대위는 문화부 계획안에는 주민들이 요구한 금남로·충장로 등 구도심 리모델링 사업이 반영되지 않았으며 주민들이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공간도 턱없이 부족하다는 주장이다.
비대위는 이에 따라 “문화전당 시설 가운데 아트플렉스와 어린이 지식박물관 등 일부 시설을 빼고는 모두 소수 문화전문가들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됐다.”면서 1500석 규모로 건립되는 문화전당 공연장을 3000석 이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문화전당내 600면 규모로 주차장을 건립한다는 계획에 대해서도 도심의 심각한 주차난을 유발해 도심공동화 현상을 가져올 것이라고 반대하면서 문화전당 주변 300m 이내에 2000면 이상의 지하주차시설을 더 확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문화중심도시 기획추진단 관계자는 “정부가 추진하는 종합계획은 사업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며 예산문제 등으로 지역민들의 제안을 모두 수용하기는 어렵지만 여론 수렴을 거쳐 계획안 수정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문화부는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을 위해 2023년까지 민자 등을 포함,4조 8772억원을 투입한다. 광주시 동구 옛 전남도청 자리에 2010년까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건립하는 방안도 담겨져 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