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위를 차지한 D고는 평균 표준점수가 597.1점이었고,2위는 S고(574.1점),3위는 M고(567.7점) 등으로 나타났다. 인문계 40여개교 가운데 사립고가 1∼27위를 차지했고, 신설 3개 공립고교는 28∼30위를 차지했다.
전통 명문고로 명성을 날렸던 공립 고등학교들은 30∼40위권을 기록, 사립과 공립 고교의 성적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한 고교 교사는 “이 자료는 학교별 통계를 토대로 작성했기 때문에 정확한 것으로 보인다.”며 “학교 내부용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문건의 신빙성에 대해 말하기 곤란하다.”면서 “학교·학생·학부모 사이에 위화감과 갈등이 생길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 학부모는 “우수 사립고와 공립고간 평균 점수가 50점 이상 벌어진 것은 공립고가 입시에 너무 안이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반증”이라며 “학교간 학력차를 줄이기 위해 특단의 대책이필요하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